[최태성 한국사 고급] 5강 고대(백제, 신라)

2020. 2. 12. 09:27공부/한국사

[최태성 한국사 고급] 5 고대(백제, 신라)

 

고구려: 갖춤 2세기 -전성기 5세기

백제: 갖춤 3세기 -전성기 4세기

신라: 갖춤 4세기 -전성기 6세기

 

[백제]

건국인물: 온조(주몽-부여사람, 아들)

*부여, 고구려, 백제 부여 혈통임

-한강에 백제를 건국

 

고이왕(3세기) - 백제 성장기의

-관등, 관복 제정: 율령, 시스템 갖춤

-목지국(마한.->삼한 대빵임) 병합

 

근초고왕(4세기) - 백제 전성기. 고구려 압박

-정복 군주 모습

**한성(서울) 기점으로 고구려 공격. 고구려 고국원왕 전사시킴 &

마한 완벽하게 병합시킴 &

중국 동진과 우호적인 관계 &

랴오허강(요서지역)까지 진출 & 일본과 교류(칠지도)

 

침류왕(4세기)

-불교 수용(from 중국 동진)->고대 국가의 중요한 keyword

 

5세기 고구려 장수왕 밀고 내려옴

고구려가 평양 천도 & 백제의 한성 함락

->고구려가 세력을 펼치니 무서워서 신라와 손을 잡음: 나제동맹(백제 유왕, 신라 지왕)-바늘 관계

 

한성 함락: 개로왕 전사 -> 도읍을 웅진(공주)으로 천도

다시 나제동맹 결합(백제 동성왕, 신라 소지왕) -결혼동맹관계(동맹 끈끈)

 

무령왕(6세기)

*고향: 일본 섬에서 태어남

-22담로 (왕족 파견) - 추락한 왕권을 강화시키기 위해, 왕족을 파견해서 직접 통치하기위해

-중국남조와 교류 - 무령왕릉 있는 중국의 벽돌양식을 통해 알수 있음, 일본과 긴밀한 교류

 

성왕(6세기)

-목표: 백제 부흥

-도읍을 사비(부여) 천도

-지방행정조직 55

-한강 탈환을 위해, 신라 진흥왕과 손잡고 고구려 몰아냄 - 백제는 한강 하류 차지, 그외는 신라가 차지.

**신라는 중국과 직접 교역을 하고 싶어했기 때문에 한강 하류도 차지해버림. 백제 뒷통수 맞음

**신라 진흥왕에게 백제 성왕의 딸을 시집보냄(나름의 연막작전)

-관산성전투(성왕이 신라를 치는 전투, 근데 신라 진흥왕의 매복조에 걸려서 성왕 전사)

신라와 백제는 완전 원수지간

 

무왕(서동) (7세기)

-익산 미륵사지 (백제의 부활을 보여주는 물건)

-서동+선화공주

 

의자왕(서동,선화공주의 아들이라고 알려짐)

**백제의 절체절명의 위기 시기임.

-나당연합에 의해 무너지게 . (당시 신라는 고구려 연개소문을 찾아갔지만 거절당함)

-황산벌전투(계백) - 논산 10월에 황산벌전투 재현함(계백 5천명 vs 신라 김유신 5만명)

 

이후, 백제 부흥운동이 있었음

-흑치상지, 도침, 복심 (흑도복) + 일본

일본이 백제를 다시 부흥시키기 위해 군사를 4만명이나 보냄

군대를 가지고 백강전투를 하지만, 백제는 멸망됨. 일본의 정권이 바뀌게

 

백제 도읍 변천사

3세기-5세기: 한성

5세기-6세기: 웅진

6세기: 사비

 

 

[신라]

박혁거세

-신라 건국

-사로국(=서라벌) 건설

-거서간이라고도 불림(우두머리..?)

 

**->-> (신라 성의 변화)

리더를 부르는 용어: 거서간, 차차웅, 이사금 (아직까지는, 왕이라고 부르지 않음. 고대국가 틀은 아님)

*차차웅: 제정일치(제사장+)

*이사금: 이빨이 많은 사람이 왕이 ->연장자

 

내물마립간(리더 명칭) - 4세기 성장기(왜가 들어오는 시기)

-김씨세습(,, 돌아가면서 왕을 하니까 왕권강화가 힘들었음. 고구려가 이렇게 하라고 정해줌)

-고구려의 구원(왜로부터 광개토태왕 신라 도와줌)

 

5세기 장수왕의 남하정책

-나제동맹->눌지 마립간, 소지 마립간

 

지증왕(=이사부) (6세기): 개혁군주 모습을 보여줌.

- 명칭

-나라 이름 신라

-우산국(독도) 정벌

-우경(소를 이용해서 농사짓는것->농업생산력 높이기 위해) 장려

-동시() 만듦

-순장 없앰(부여에서부터 내려옴)

 

법흥왕(: 불교의 법임): 개혁군주

-신라역사 최초로 연호 '건원' 사용

-율령 변경(17관등)

-병부(행정부처 만듬. 지금의 국방부 같은)

-골품제

-불교 공인(이차돈)

-금관가야 무너짐

 

진흥왕(7세기-신라 전성기 정복군주)

-관산성전투(vs 백제), 한강차지

-진흥왕 순수비(북한산), 단양적성비(싸워서 빼앗아 )

**충주에 장수왕 고구려비가 있는데, 나중에 신라 진흥왕이 바로 단양에 단양적성비 세움.

한강 차지가 그만큼 중요했음

한강차지->당항성에서 중국과 직교역

-화랑도 재편

-대가야 무너짐

(*황룡사 진흥왕때, 황룡사9층석탑은 선덕여왕!) 

 

**정복군주들

고구려: 광개토태왕

백제: 근초고왕

신라: 진흥왕

 

태종무열왕(=김춘추, 7세기)

-신라 통일의 초석을 놓음

-백제 멸망

 

문무왕

-통일 완수

 

5 영상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