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2. 12. 09:28ㆍ공부/한국사
[최태성 한국사 고급] 6강 고대 통일신라 발해
통일신라+발해 시대: 남북국시대(유득공의 발해고에서 나온 용어)
(남국: 통일신라, 발해: 북국)
*************************************************************************************************************************************************
삼국시대 신라 -> 통일신라
[신라 상대 = 삼국시대 신라] - 성골이 왕이 되는 시기
박혁거세~ 박/석/김씨 ~ 내물왕(위기적 시대 4c) ~ 눌지왕,소지왕 (5c 장수왕 남하정책)~ 지증왕, 법흥왕(6c개혁기) ~전성기 진흥왕 ~ 진덕여왕(후세 끊김)
[신라 중대 = 통일신라 초기, 중기] - 진골이 왕이 되는 시기
태종 무열왕(김춘추) ~ 문무왕(삼국통일, 수중릉) ~ 혜공왕
[신라 하대 = 통일신라 말기] - 내물방계 진골이 왕이 되는 시기
선덕왕(선덕여왕 아님) ~ 경순왕(신라 마지막 왕)
**삼국시대 별 귀족회의
고구려: 제가회의(여러 가들이 모여서 하는 회의)
백제: 정사암회의
신라: 화백회의(만장일치)
신라 중대 특징 *왕권 강화 (특히 신문왕) - 아래 대부분 내용이 신문왕임
-정치: 김흠돌의 난(김흠돌-귀족의 역모) -> 진골 귀족 숙청 작업 (신문왕의 왕권강화를 위해 역모사건이 기획된 것은 아닐까 라는 주장도 있음)
상대등 세력 약화시킴,
*상대등 세력: 화백회의를 주관했던 대빵. 귀족들의 수장인 격.
집사부/
행정조직 개편; 9주 5소경 (수도 경주의 치우침을 보완하기 위해 만듦)
*<5소경> : 중원경(충주) - 충주고구려비(=중원 고구려비), 서원경(청주) - 민정문서(당시 세금체계 문서), 직지
군사조직 개편: 9서당 10정
9주, 9서당, 10정: 민족 융합 목적이 있음 (9서당= 중앙군, 예전의 고구려, 백제, 말갈인이 들어옴/ 10정=지방군) 특히 9서당이 민족융합 목적에 큼
-경제: 관료전(세금만 걷음) 지급,
녹읍(노동력 징발) 폐지
옛날 공무원들은 국가 세금을 대신 가져감(수족권-세금 걷을 수 있는 권리). 녹읍은 읍/면/동, 마을(사람-군사력, 곡물)을 통째로 준다는 것
당시 녹읍은 귀족 세력 강화에 좋았음. 신문왕이 왕권강화를 위해 이것을 폐지한 것임.
신문왕이 똑똑한게, 관료전을 먼저 지급한 후 녹읍을 폐지함. -> 귀족들의 반발을 방지하기 위해.
정전 지급(성덕왕 때임. 백성들에게 토지를 나눠줌 ->왕이 백성에게 나눠줌으로써 왕에게 세금을 내도록 해서, 왕권강화)
-사회: 6두품 적극 등용(ex-설총- 원효아들)
외사정(사정기관-지방귀족 감찰 기구), 상수리 제도(지방에서 수상한 사람들 끌고오는 제도->고려시대 기인제도로 이어짐) (문무왕 때임)
-문화: 국학 설립(유학을 가르침-신하가 왕에게 충성하는 방법들 세뇌)
신라 하대 특징 *왕권 약화
-정치: 김헌창의 난 ->진골 귀족간 왕위 다툼이 일어남.
상대등 세력 올라감. 집사부 시중 약화됨
-경제: 녹읍 부활..
-사회: 6두품 등용 안함/짤림 -> 호족 등장(6두품이 호족으로 이동함 - 성주, 장군)
-문화: 풍수지리, 선종 유행 ->호족들이 열광하면서 지원함.
*풍수지리: 왕권은 약화되었다. 지방에서 왕이 나올수도 있다.
*교종: 글자에 의해(불교 경전 읽으면서) 깨우침
*선종: 참선에 의해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 -> 누구나 왕이 될 수 있다. -> 골품제 깨는 논리 제공
*호족 대표 인물
1세대: 장보고(중국에 법화원 사찰 설치, 완도에 청해진-해적 소탈하는 곳 설치)
2세대: 견훤(완산주-지금의 전주 -> 후백제 세움) ,
궁예(송악-지금의 개성 -> 후고구려 세움) => 왕건(철원 -> 고려 세움)
천년의 신라는 여기에서 끝남
*************************************************************************************************************************************************
북국 신라 - 발해(고구려 계승) 698년~926년
대조영(동묘산에서 건국)
~무왕(당나라와 싸움 ->고구려 멸망시킨 당나라와 싸움,
연호 '인안' 사용,
흑수말갈(=당나라와 내통하려고했던..) 깨고 일본과 우호적 관계
산둥반도 공격-당나라 치는것. 장문휴를 시켜서 )
~문왕(친중국 유지- 중국문물 많이 수용(3성6부, 주작대로(중국 당나라 장안성을 모델로 만든 길))
신라와도 우호적 '신라도 -신라와 교역할수 있는 길을 뚫어놓음'
고구려 계승 의지 보임 -> 고려왕 이라고 주장, 온돌, 이불병좌상(부처2명), 문왕2째달 묘도 고구려 양식(돌사자상-고구려양식), 발해석등
연호'대흥' 사용
발해 중앙통치조직: 3성 6부 =>당의 영향 많이 받음
3성: 정당성, 중대성, 선조성
6부: 정당성 밑에 좌사정/ 우사정
좌사정 밑에 충/인/의부, 우사정 밑에 지/예/신 부 (명칭은 당나라꺼 안씀 -> 독자성을 가지고 있음)
+ 중정대(감찰기관), 주자감(교육기관)
*** 최초의 대학 고구려 소수림왕 때 태학, 신문왕 때 국학, 발해 주자감
~선왕(발해의 전성기 - 요동지역 확보)
연호 '건흥' 사용
지방행정조직: 5경 15부 62주
해동성국 이라고도 부름. 엄청 전성기라는 소리임. 발해는 고구려 영토보다 더 넒음.
발해의 급격한 멸망원인: 1) 거란에 의해, 2) 백두산이 터지면서 무너짐
*발해는 자료가 많이 없음.
연호 외우기 ㅋㅋㅋ
김 대 건
(인안 ->대흥 -> 건흥)
싸웠고(무왕) ->친했고(문왕)->전성기(선왕)
남북국 시대 1000년
고려 500년
조선 500년
'공부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태성 한국사 고급] 8강 고대 문화 (0) | 2020.02.12 |
---|---|
[최태성 한국사 고급] 7강 고대 경제, 사회 (0) | 2020.02.12 |
[최태성 한국사 고급] 5강 고대(백제, 신라) (0) | 2020.02.12 |
[최태성 한국사 고급] 4강 고대(고구려, 가야) (0) | 2020.02.11 |
[최태성 한국사 고급] 3강 여러나라의 성장(B.C) (0) | 2020.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