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43)
-
10회읽기 공부방법 - SR 공부법, 고승덕 공부법
10회읽기 공부방법 - SR 공부법, 고승덕 공부법 고승덕은 싫지만, 그의 노력과 시험 합격에 대한 성과는 인정해줘야한다. 똑똑한 사람들은, 그들이 터득한 자신의 방법으로 공부하면 되지만, 나는 똑똑하지 않아서, 그런데 좀 많이 시험 합격을 원하기 때문에 이렇게 따라해보아야겠다. SR 공부법- 임성룡 크게 3단계로 나뉜다. 1단계. 3회독 핵심어 연필로 밑줄긋기. 이해안된다고 다시 읽을 필요 없음. 가볍게 그저 읽기 2단계. 2회독. 형광펜으로 진짜 핵심어 표시하기. 책읽는 속도는 1단계보다 빠르게 읽는데. 내용은 모두 이해가 될것이다. 3단계. 5회독. 묶음으로 읽기 1단계에서 표시한 핵심어와, 2단계에서 표시한 핵심어 중심으로 읽기. 책 한권 읽는 속도가 매우 빠르고, 책읽는 즐거움을 알게된다. 고승..
2020.03.04 -
토익 - 가정법
토익 - 가정법 (복습) 1. 가정법 구조 1)가정법 과거: IF 주어 과거동사, 주어 wolud/could/might 동사원형 2)가정법 과거완료: IF 주어 had p.p, 주어 wolud/could/might have p.p 3)가정법 미래: IF 주어 should 동사원형, 주어 wolud/could/might 조동사+동사원형/또는 명령문(please 동사원형) 2. 혼합가정법: IF 주어 had p.p, 주어 wolud/could/might 동사원형 + now/today 3. 가정법 도치 구문 1)if 생략된 도치 가정법 -도치된 가정법 미래: If 주어 should 동사원형, 주어 will+동사원형/또는 Please 동사원형 = Should 주어 동사원형, 주어 will 동사원형/또는 Plea..
2020.03.03 -
직장인 한국사 고급 한달만에 합격한 후기(최태성 인강)
직장인 한국사 고급 한달만에 합격한 후기(최태성 인강) 이직준비를 결심하면서, 한국사 고급 자격증이 필요해졌다. 인터넷 서칭후 최태성 선생님을 많이 추천하길래, 유튜브에서 1강을 들었는데, 거기서 최태성 선생님이 그랬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검증만 하면 되는거다. 점수만 맞추면 되는것. 그리고 나와 함께 40강 들으면 반드시 꼭 합격한다. 선생님의 그 자신감에 홀려서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바로 책 구매했다. 공부 일정 1) 1/8: 책 구매 2) 1/13 - 2/8: 최태성 한국사 고급 인강 40강 듣고 복습 3) 2/8: 한국사 46회 시험 4) 2/21: 합격 발표 공부 방법 팁 1) 4등분을 염두에 두고 인강 듣기 40강을 크게 4등분으로 나눠서 염두에 두고 들었다. 고대(구석기시대~통일신라) / 고..
2020.02.21 -
[최태성 한국사 고급] 40강 -현대 (경제 & 통일)
[최태성 한국사 고급] 40강 -현대 (경제 & 통일) [이승만 정부] 1.농지개혁 2.귀속재산 처리 3.원조경제 1.농지개혁 *제헌헌법에 의해 규정된 것. 해야하는 것. -식민지 지주제 청산 -유상매입 유상분배 *당시 북한은 무상몰수 무상분배 ->유상매입: 3정보 이상의 토지를 매입, 지가증권 제공 ->당시 전쟁끝나고난 후여서 인플레이션이 심했음. 지가증권 휴지조가리임 ->유상분배: 토지가격을 1년생산량의 150%로 정함. 5년동안 분할 상환 ex)100가마 생산하면, 70가마 갖고 30가마 내고... 농지개혁으로 6.25전쟁때 인민군들이 토지를 맘대로 할수 없어서, 효과를 많이 봄. 2.귀속 재산 처리 -일본인이 남기고 간 재산을 처리 ->독점자본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된것 3.원조경제 -미국 ..
2020.02.17 -
[최태성 한국사 고급] 39강 -현대 (민주주의)
[최태성 한국사 고급] 39강 -현대 (민주주의) 우리는 헌법 9번 바꿈 미국은 1번도 안바꿈 (1948년) [제헌헌법] 제1공화국: 이승만정권(자유당) 출범 대통령: 간선제로 뽑음(국회에서 뽑음. 국회의원 임기 2년) -농지개혁 관련내용 헌법에 있음 (성공) -친일파 처리 내용 있음 (실패) /*1950-1952 : 6.25전쟁 중임*/ (1950) 50년 총선때 이승만 지지했던 의원들 대거 낙선 -> 이승만 지지 의원 없으면 이승만 대통령 못함 -> (1952) [1차 개헌 (=발췌 개헌)] **대통령제, 의원내각제의 좋은점들만 발췌해서 뽑음 대통령: 직선제로 뽑음 ->부산 정치 파동 의원들이 버스에 타고 출근했는데, 그 버스를 크레인으로 들어올려서 협박함. ->발췌개헌 통과시켜라! **전쟁 때 임시..
2020.02.17 -
[최태성 한국사 고급] 37강 - 일제강점 (1930~저항)
[최태성 한국사 고급] 37강 - 일제강점 (1930~저항) 민족말살 분위기였기 때문에, 드러내놓고 저항하지는 못했음.ㅠㅠ 1920년대의 쟁의투쟁은 30년대 혁명적 지하조직! 이라고 해서, 지하에서 활동하고 그랬음..ㅠㅠ [국내저항] 국어 (1930) 1.조선어학회 *1920년대는 조선어연구회임. 이 단체가 30년대에 조선어학회가 된 것임. -맞춤법 통일안, 표준어 제정 -우리말 큰사전 제작하려고 했으나, 40년대에 조선어학회 사건때문에 편찬하지 못함! -잡지 역사 (1930년대에도 민족주의 사학 발달함) 1.민족주의 사학 -정신, 혼 강조 -30년대 대표적 인물: (정인보 - '얼' 강조) 2.실증주의 사학 -있는그대로를 증명해냄 -대표인물: 이병도-'진단학회' 조직 만듬(진단학보 만듬) (청구학회와 ..
2020.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