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2. 12. 09:29ㆍ공부/한국사
[최태성 한국사 고급] 7강 고대 경제, 사회
경제: 조세/무역/경제활동/ 토지
[경제]
-조세
**고대 중세 근대 세금체계
조세: 토지세 개념
공물: 지역 특산물 납부
역: 요역(국가를 위한 노동력), 군역(군대)
*세금 조사 방법 [민정문서]
고대(통일신라)의 민정문서(서원경에서 조사함, 문서는 일본으로 감)
-지역의 촌주가 3년마다 조사해서 민정문서 작성함 ->중앙통제력 강화
-통일신라때에는 토지와 사람 조사 같이함
고려시대 민정문서에 가서는 토지,사람 구분해서 조사함 -> 호적, 양안(토지장부)
-무역
[발해]
발해 무역루트: 거란으로 가는 루트, 당나라로 가는 루트, 일본으로 가는루트(일본도), 신라로 가는 루트(신라도- 발해 문왕때)
수출품: 말
발해관: 당나라에 의해 만들어진, 발해 사신/상인들이 머무는 곳
[신라]
신라 국제 무역항: 울산항(경주와 가까이 있음) - 아라비아 상인들이 들어옴(유리 수입-> 천마총 유리잔, 황남대총 북분 유리잔)
*고려 국제 무역항: 벽란도(개경과 가까이 있음)
신라 하대 호족 1세대 대표인물 장보고: 법화원(산둥반도, 무역하는 곳), 그 아래 청해진(완도, 해적 소탕)
통일신라 후 안정적이 8C즈음에는 신라방, 신라원 만들어짐
-경제활동(시장)
동시(전)- 동쪽에 있는 시장(삼국시대 신라 지증왕때 만듦) -> 서시, 남시(통일신라 때) 추가됨
-토지
1)수조권 관련 토지(걷을 수, 세금 조)
*수조권: 국가 대신 관리들이 세금을 대신 가져감(땅을 통째로 준 것이 아니야)
->녹읍(세금+역 같이 걷을 수 있음), 관료전(오직 세금만 수취) -> 통일신라 신문왕때.
2)소유권 관련 토지
->정전(국가가 백성에게 토지의 소유권을 줌)
********************************************************************************************************************************************************************
사회: 삼국시대, 남북국시대로 구분해서 공부
[사회]
-삼국시대
*지배층의 성
고구려: 고주몽 고씨
백제: (부여 주몽->고구려 정착->고주몽 아들 온조가 백제 설립 )부여씨
신라: 화백회의 (만장일치, 상대등-화백회의 대빵),
화랑도(화랑(귀족) + 낭도(귀족+일반백성))
*화랑도: 계급간의 갈등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함.
진흥왕 때 국가조직으로 재편됨.
신선놀음처럼 보임, 도교 사상
화백회의, 화랑도: 씨족사회의 전통으로 남음(신석기시대 평등사회에서 이어짐)
화랑도를 보며, 신채호는 낭가사상의 원리라고 얘기함(무리지어 다니며, 호방한 기세를 보이는 것)
골품제: (성/진골 + 6/5/4두품) 폐쇄적인 신분사회. 생활모습도 지배함-집크기, 기와모습, 말의 수 ..
-남북국시대
[발해]
지배층 성: 대씨
민족구성: 이원적 민족 구조. 삼각형 모양. 고구려->대다수 말갈인
[통일신라 하대 모습]
골품제의 모순이 드러남
1)골품제의 모순: 최치원이 너무 똑똑함. (계원 필경, 토황소격문, 빈공과-당나라 시험)
2)진골귀족간의 왕위 다툼 ->호족 등장
->원종, 애노의 난 발생 (역사상 최초 민중봉기)
'공부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태성 한국사 고급] 9강 고대 문화2 (0) | 2020.02.12 |
---|---|
[최태성 한국사 고급] 8강 고대 문화 (0) | 2020.02.12 |
[최태성 한국사 고급] 6강 고대 통일신라 발해 (0) | 2020.02.12 |
[최태성 한국사 고급] 5강 고대(백제, 신라) (0) | 2020.02.12 |
[최태성 한국사 고급] 4강 고대(고구려, 가야) (0) | 2020.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