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한국사(40)
-
직장인 한국사 고급 한달만에 합격한 후기(최태성 인강)
직장인 한국사 고급 한달만에 합격한 후기(최태성 인강) 이직준비를 결심하면서, 한국사 고급 자격증이 필요해졌다. 인터넷 서칭후 최태성 선생님을 많이 추천하길래, 유튜브에서 1강을 들었는데, 거기서 최태성 선생님이 그랬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검증만 하면 되는거다. 점수만 맞추면 되는것. 그리고 나와 함께 40강 들으면 반드시 꼭 합격한다. 선생님의 그 자신감에 홀려서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바로 책 구매했다. 공부 일정 1) 1/8: 책 구매 2) 1/13 - 2/8: 최태성 한국사 고급 인강 40강 듣고 복습 3) 2/8: 한국사 46회 시험 4) 2/21: 합격 발표 공부 방법 팁 1) 4등분을 염두에 두고 인강 듣기 40강을 크게 4등분으로 나눠서 염두에 두고 들었다. 고대(구석기시대~통일신라) / 고..
2020.02.21 -
[최태성 한국사 고급] 40강 -현대 (경제 & 통일)
[최태성 한국사 고급] 40강 -현대 (경제 & 통일) [이승만 정부] 1.농지개혁 2.귀속재산 처리 3.원조경제 1.농지개혁 *제헌헌법에 의해 규정된 것. 해야하는 것. -식민지 지주제 청산 -유상매입 유상분배 *당시 북한은 무상몰수 무상분배 ->유상매입: 3정보 이상의 토지를 매입, 지가증권 제공 ->당시 전쟁끝나고난 후여서 인플레이션이 심했음. 지가증권 휴지조가리임 ->유상분배: 토지가격을 1년생산량의 150%로 정함. 5년동안 분할 상환 ex)100가마 생산하면, 70가마 갖고 30가마 내고... 농지개혁으로 6.25전쟁때 인민군들이 토지를 맘대로 할수 없어서, 효과를 많이 봄. 2.귀속 재산 처리 -일본인이 남기고 간 재산을 처리 ->독점자본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된것 3.원조경제 -미국 ..
2020.02.17 -
[최태성 한국사 고급] 39강 -현대 (민주주의)
[최태성 한국사 고급] 39강 -현대 (민주주의) 우리는 헌법 9번 바꿈 미국은 1번도 안바꿈 (1948년) [제헌헌법] 제1공화국: 이승만정권(자유당) 출범 대통령: 간선제로 뽑음(국회에서 뽑음. 국회의원 임기 2년) -농지개혁 관련내용 헌법에 있음 (성공) -친일파 처리 내용 있음 (실패) /*1950-1952 : 6.25전쟁 중임*/ (1950) 50년 총선때 이승만 지지했던 의원들 대거 낙선 -> 이승만 지지 의원 없으면 이승만 대통령 못함 -> (1952) [1차 개헌 (=발췌 개헌)] **대통령제, 의원내각제의 좋은점들만 발췌해서 뽑음 대통령: 직선제로 뽑음 ->부산 정치 파동 의원들이 버스에 타고 출근했는데, 그 버스를 크레인으로 들어올려서 협박함. ->발췌개헌 통과시켜라! **전쟁 때 임시..
2020.02.17 -
[최태성 한국사 고급] 37강 - 일제강점 (1930~저항)
[최태성 한국사 고급] 37강 - 일제강점 (1930~저항) 민족말살 분위기였기 때문에, 드러내놓고 저항하지는 못했음.ㅠㅠ 1920년대의 쟁의투쟁은 30년대 혁명적 지하조직! 이라고 해서, 지하에서 활동하고 그랬음..ㅠㅠ [국내저항] 국어 (1930) 1.조선어학회 *1920년대는 조선어연구회임. 이 단체가 30년대에 조선어학회가 된 것임. -맞춤법 통일안, 표준어 제정 -우리말 큰사전 제작하려고 했으나, 40년대에 조선어학회 사건때문에 편찬하지 못함! -잡지 역사 (1930년대에도 민족주의 사학 발달함) 1.민족주의 사학 -정신, 혼 강조 -30년대 대표적 인물: (정인보 - '얼' 강조) 2.실증주의 사학 -있는그대로를 증명해냄 -대표인물: 이병도-'진단학회' 조직 만듬(진단학보 만듬) (청구학회와 ..
2020.02.16 -
[최태성 한국사 고급] 36강 - 일제강점 (1920~저항)
[최태성 한국사 고급] 36강 - 일제강점 (1920~저항) 민족주의 사회주의 (자본주의) /*국내*/ [실력양성운동] -민족주의 진영에서 전개함 *구한말에는 애국계몽운동에서부터 연결됨-교육/언론/식산흥업 강조 1.물산장려운동(국산품 애용운동) -배경: 회사령 철폐되고 관세폐지 -> 일본 물건과 경쟁하게 되어서 국산품 판매 어려워져서 -평양에서 시작됨(구한말 국채보상운동은 대구에서 시작함!!!!!!!) -성공못함. 사회주의 세력들이 비판함 2.민립대학설립운동 -전개된 배경: 2차 조선교육령(일본=조선 학제동일시하게 됨) -주도인물: 이상재 -성공못함. 일본이 경성제국대학 세우면서, 방해함 3.문맹퇴지운동(1920년대에도 있었고, 30년대에도 있었음) -주도했던 언론사: 문자보급운동(조선일보) *1930년..
2020.02.16 -
[최태성 한국사 고급] 35강 - 일제강점기 (1910~저항) 1910년대 국내/국외 저항
[최태성 한국사 고급] 35강 - 일제강점기 (1910~저항) 1910년대 국내/국외 저항 [국내] 주로 비밀결사 형태로 활동함 1.신민회 -주로 서울에서 활동 -105인사건: 데라우치 총독 암살 미수사건을 빌미로 해서 신민회 해산시킴 1911년 -공화정을 지향 2.독립의군부 -전라도에서 활동 -구한말 의병 활동했던 임병찬이 이끔 ->위정척사운동 계열에서 나옴 -복벽주의(다시 왕을 중심으로하는 제도로 돌아가자) 지향함 -국권반환요구서 제출을 계획함 3.대한광복회 -경상도에서 활동 -박상진이 활동함 -공화정을 지향함 -무장투쟁을 지향했던 단체 ->친일부호 처단함 -만주사관학교 설립 [국외] 독립운동기지 건설 *만주=간도 *독립운동을 후원하던 단체들이 학교를 만듬 ->학교 출신들이 군대 형성 1.경학사 (단..
2020.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