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2. 14. 09:28ㆍ공부/한국사
[최태성 한국사 고급] 28강 - 근현대사 개항기(흥선대원군)
**조선의 3대개혁: 조선전기 조광조, 조선후기 김육/흥선대원군
- |
- |
19세기 상황 |
흥선대원군 |
흥선대원군의 구체적 내용 |
내 부 적 상 황 |
정치 |
세도정치 |
왕권강화 |
(중앙정권 잡기위해) 부정부패 속에서 왕권 추락함 1.'비변사' 해체 -> 의정부(행정)+삼군부(군사권한) *당시 비변사: 모든 권력이 집중되었던, 소수가문 권력을 좌지우지했던 기구
2.법전만듬: <대전회통>,<육전조례> -경국대전이랑 대전통편이 일치하지않는 부분이 있어서, 하나로 합친다!
3.경복궁 중건(왕실 권위 보여주기 위해) ->사진 제시하고 문제 많이 나옴 (경복궁 빨리 지으려면 돈이 필요했음) -당백전 이라는 돈을 찍어냄 : 상평통보100개가 당백전 1개 ->인플레이션 발생(화폐가치 떨어지고 물가 폭등) -원납전(원해서 납부하는 돈, 근데 반강제적이었음) -묘지림(동네 양반들 소나무 수거해옴)
(지방정권도 잡기위해) 1.서원정리(면세, 백성 수탈의 대상의 서원을 정리한것임) ->47개만 남겨두고 다없앰, 만동묘 철폐 *만동묘: 임진왜란때 도와준 명나라의 황제 제사 지내는 곳(양반들의 반발이 있었음) |
- |
경제 |
삼정문란 *삼정문란: 전정, 군정, 환곡 |
민생안정 |
전정 개혁: 양전사업(토지 안내는 세금 색출) ->국가 재정 올라감 군정 개혁: 호포법(집집마다 포 내는법-양반도 내야함, 영조 균역법 시행 전에 어사 박문수가 호포법 주장했었음) 환곡 개혁: (당시 공무원들이 관여하면서 비리가 많았음) -> 사창제 시행(민간인들이 운영하도록) |
외 부 적 상 황 |
이양선 많아짐 이양선(모양이 다른 배) |
통상수교 거부 |
*내부적인 상황은 유생들과 뜻을 달리했지만, 외부적인 상황은 뜻을 같이 했음
1866년 1.병인박해(천주교 탄핵사건, 프랑스 신부 죽음) -> 병인양요로 이어짐 **당시 청나라가 연해주를 러시아에 넘기면서, 러시아와 국경이 닿게 되었음. 그러면서 러시아가 국경 넘어오고 그래서, 조선이 러시아 견제하기 위해 프랑스를 끌여들였음. 근데 견제가 잘 안됐음. 이와중에 유생들이 어떻게 외세를 끌여들이냐며 빡쳐서, 흥선대원군이 '나는 순결해 상관없어' 하는 마인드로 병인박해 저지른것임.
2.제너럴 셔먼호 사건(미국배가 평양으로 들어옴. 조선사람은 호의를 베풀었는데, 양놈들은 밤에 백성들 공격함. 조선인 빡쳐서 배 불태움, 미국인들도 좀 죽음) - 대표인물 박규수
3.병인양요 -> 외규장각 약탈해감 -강화도에서 싸움. 이김 -대표인물: 양헌수 (정족산성에서 활약), 한성근(문수산성에서 활약)
1868년 4.남연군 묘 도굴 시도사건(독일) -충청도, 오페르트 독일인 *남연군: 흥선대원군 아빠 -배경: 통상수교 거부해서, 남연군 묘 도굴을 통해 협상하려고 함. 결국 실패함
1871년 5.신미양요(신미년에, 미국과) -강화도에서 싸움. 이김 -대표인물: 어재연(광성보에서 활약) -원인: 제너럴 셔먼호 사건 -장군깃발인 수자기 약탈해감
신미양요까지 끝낸 후 세운 비석: 척화비 |
-경제: 삼정문란
*삼정문란: 전정, 군전, 환곡
*조선후기 세금체계 개편: 전세->영정법(인조때), 공납->방납폐단 속 대동법(광해군), 역->대립제,방립수포제 통해 균역법(영조때)
**전정: 영정법+균역법
군전: 대동법
환곡: 춘대추납 제도
조선의 법전
**성종~세종 법전: 경국대전
**영조 때 경국대전 속편: 속대전
**정조 : 대전통편! 헷갈리지 말기
**흥선대원군: 대전회통
조선후기 상평통보 때 디플레이션 발생했었음
*최초 서원: 주세붕의 백운동서원(이황건의, 왕이 현판써줌-사액서원->소수서원으로 이름바뀜) + 면세해줌
묘지림, 만동표 철폐, 호포법 -> 양반 반발이 많았음 -> 최익현이 탄핵 상소 올리면서 10년의 흥선대원군 시대 끝남. 고종의 친정(직접 정치하는) 시대 시작
'공부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태성 한국사 고급] 30강 - 근현대사 개항기(동학~대한제국) (0) | 2020.02.15 |
---|---|
[최태성 한국사 고급] 29강 - 근현대사 개항기(개항~ 갑신정변) (0) | 2020.02.15 |
[최태성 한국사 고급] 27강 - 조선 후기 문화2 (0) | 2020.02.14 |
[최태성 한국사 고급] 26강 - 조선 후기 문화1 (0) | 2020.02.14 |
[최태성 한국사 고급] 25강 - 조선 후기 사회 (0) | 2020.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