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성 한국사 고급] 30강 - 근현대사 개항기(동학~대한제국)

2020. 2. 15. 09:30공부/한국사

[최태성 한국사 고급] 30 - 근현대사 개항기(동학~대한제국)

 

아래로부터의 개혁운동

 

1.갑신정변 실패 이후

외부적요인

**청의 내정간섭 심해짐. 정부가 초래한 일임. 청나라 견제하기 위해 러시아를 끌여들이려고 . 당시 러시아와 라이벌 관계였던 영국도 들어오려고

1)영국: 1885 거문도 불법 점거 

    ->유길준, 부들러(독일사람): 중립 주장

2)청나라: 내정간섭이 극에 달함

3)일본: 실속을 챙김. 미면교환(조선에 면을 팔고, 쌀을 가져가는 시스템) ->쌀값 폭등

 

내부적요인

1)쌀값 폭등

2)조세 부담 증가 (많이 지어서 돈이 필요했음)

    ->전신 들어옴(85), 전등 들어옴(87)   

    ->육영공원(86)

    ->광혜원->제중원(85)

    ->박문국에서 최초의 신문 한성순보 출간(83)

 

외부적으로는 외세, 내부적으로는 정부에 불만인 봉건 모습이 나타남 => 동학농민운동(94), 아래로부터의 개혁운동

*갑신정변은 반외세는 아니었음. 동학농민운동은 반외세+반봉건.

 

 

 

[동학농민운동]

시작: 교조신원운동

*최제우가 흥선대원군에 의해 사형당함그의 제자들이 반발하여 운동하기 시작한 것임

 

<1  동학농민운동>: 반봉건적 성향이 (반봉건>반외세)

1.고부봉기

-원인제공한 사람: 고부 군수 조병갑(부정부패의 중심인물, 만석보 사건) -저수지'' 사용하려면 세금을 내라. 세금 걷으려고 저수지 있는데 농민들 시켜서 만들고 세금 걷음. 농민 빡침

**나중에 조병갑이 재판관이 되어서 동학농민들 잡아들임..

 

2.백산봉기 (동학농민군이 전라도 고부 백산에서 관군을 격퇴하고 승전)

-원인제공한 사람: 이용태(고부봉기 주범 잡아들임)

 

3.황토현 - 황룡촌 전투에서 농민 승리 (관군과의 전투)

 

4.농민이 전주성(전라도) 점령

 

5.정부가 청나라에 sos 호출 노답.. 

-청의 출병 -> 톈진조약(갑신정변때, 일본과 청의 조약) 의해 일본도 조선에 파병보냄 

 

6.전주화약 체결

-농민들: 폐정개혁 단행(개혁기구인 집강소 통해서)

    ->토지 균분(갑신정변에 없는 내용임요구!

    ->신분제 폐지 요구!

    ->과부 재가 허용 요구!

-정부: 교정청 만들어서 개혁을 전개함

 

7.파병온 일본이 경복궁 점령 (이것을 계기로 해서 반외세 성향이 커지게 ) (1894)

*1차와 2차를 나누는 keyword

 

8.청일전쟁(1894) 시작

 

9.갑오개혁 강행(1894)

 

<2 동학농민운동> 반외세 성향이 (반외세>반봉건)

/북접이 연합하기 시작함 (규모가 커짐)

*: 동학농민운동의 교단 조직 단위 이름

 

우금치 전투(1894)

**(공주, 우금치 고개만 넘으면 서울로 있음, 일본만 넘어서면 신분제 폐지하면서 농민들의 꿈을 이룰 있을 있었음)

그러나 이것을 일본/정부가 둘다 싫어함

갑오개혁을 이끌고 있던 김홍집 내각에 의해서 농민들 진압됨군국기무처 

 

 

갑오개혁(일본의 주도에 의해 이뤄진 )

<1> -일본개입 적음

-개혁의 중추는 군국기무처에서 담당

-대표적 인물: 김홍집 + 흥선대원군(친일 내각)

*앞에서는 통리기무아문, 지금은 군국기무처

 

정치 개혁: 궁내부, 의정부 8아문 체재로 바꿈(왕실과 국가돈의 투명성을 위해 왕관리 따로, 정부관리 따로)

경제 개혁: 도량형 통일 (단위를 똑같이), 재정 일원화(8아문 탁지아문에서 실행), 조세의 금납화(세금은 돈으로 내라), 은본위제 

    *갑신정변때에는 의정부6조인 호조에서 재정일원화 했었음 

    *화폐를 찍어낼 때에는, 은이 있는 만큼만 화폐를 찍어내자. 금본위제 아님

사회 개혁신분제 법적으로 폐지, 과부재가 허용

 

 

<2> -일본 개입 많음

독립서고문(우리는 청에서 독립적입니다), 홍범14(1 갑오개혁 내용을 문서화 시킴)

핵심인물: 박영효 +김홍집 (연립내각)

*박영효: 갑신정변을 일으킨 인물, 일본으로 쫓겨난 인물, 뼈속까지 (나쁜의미의 친일이 아닌, 일본에 친화적)

 

정치 개혁:

-중앙: 내각 7부로 개편(탁지아문이 탁지부가 )

-지방: 8 ->23부로 개편, 재판소 설치(지방관 권한 약화)

    *당시 지방관: 행정, 사법, 군사 가지고 있었는데, 사법은 재판소가 가져감

사회개혁: 교육입국조서(근대적 학제 성립.. 633 이런것..) ->소학교, 외국어학교, 사범학교 만듬

 

 

1.청일전쟁 종료. 일본 승리

 

2.시모노세키 조약(이토 히로부미가 조약 체결)

-조선은 자주국이다. (청과 조선 관계를 끊어놓겠다. 조선은 일본이 마음대로 하겠다)

-일본이 요동반도 가져감 

 

3.삼국간섭(러시아, 프랑스, 독일) -> 일본이 요동반도가 러시아에게 내어줌

    명성황후가 모습을 보고, 러시아를 조선에 끌어들임.

 

4.을미사변

 

5.을미개혁

-연호 사용: 건양

-단발령 시행(반발 심했음)

-태양력 사용 시작

 

6.아관파천(1896)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사건

*일본의 영향력으로 빨려들어가는것을 막은 셈이기도 . 러시아와 일본 힘의 균형을 맞춤

 

-독립협회(고종이여 돌아오세요~)

->독립신문 만든사람들 중심으로 만든 협회.

->독립문 만듬

->만민공동회

**만민공동회

-우리나라 최초의 집회

-러시아가 달라고 하는 절영도 조차(부산을 달라) 막아냄. 성공함

-한러 은행 폐쇄

 

-관민 공동회 (만민공동회 대장이 공무원으로 참여함)

->(박정양 내각이 참여함)

->헌의 6 만듬

    1)입헌군주제 지향 ->왕권줄이려고

    2)재정일원화(탁지부)

    3)피고 인권 존중

 

헌의6조를 바탕으로 중추원 관제(의회) 선포됨

-백성들과 함께하는 좋은기회였는데, 권력을 잡은 자들이 못되게 구니까 고종이 해산시켜버림.

->고종이 독립협회 해산시킴. 황국협회(보부상 중심 단체, 친정부적인, 어용단체) 시켜서 만민공동회 해산시킴

 

 

7.대한제국 선포(1897)

-광무개혁(황제중심의 개혁)

-구본신참에 입각한 개혁(옛것을 본으로 하고, 새로운것을 참조한다 

->구본: 황제권 강화가 목표. 95 '대한국 국제' 반포 ->모든 권력(원수부) 황제에게 집중시킨다.

->신참양전사업(토지조사사업) 통해 지계(=근대적 토지 소유권) 발급, 상공업 진흥시키기, 기술학교 설립, 전차, 경인선 개통 (-온건파 동도서기 주장과 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