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2. 15. 09:31ㆍ공부/한국사
[최태성 한국사 고급] 31강 - 근현대사 개항기(국권 침탈 <-저항)
1.강화도조약 체결(1876)
2.임오군란(1882)
3.갑신정변(1884)
4.동학농민운동(1894)
5.갑오개혁,을미개혁
6.아관파천
7.대한제국
8.(독립협회 해산 & )러일전쟁(1904). 일본 승리
1.한일의정서 체결 (우리나라 땅 군용지를 마음껏 쓰겠다)
2.1차한일협약 체결 (고문 파견)
-고문: 메가타(재정), 스티븐스(외교)
**메가타에 의해 화폐정리사업 단행, 스티븐스는 조선이 왜 일본의 식민지여야하는지 설명하고 다니다가 총살당함
3.2차한일협약(=을사늑약)
-통감정치(고문정치보다 더 강력해진 힘을 가지게 됨)
-외교권 박탈됨..
**을사5적: 이완용, 이지용, 이근택,권중현, 박제순 개시발놈들
*고종이 도장찍지 않음. 부당하다! 라고 외치며 헤이그 특사 파견
4.헤이그 특사 파견
->고종 퇴위시키고 순종 앉힘
*순종 연호: 융희
5.한일신협약(=정미7조약, 1907년)
-통감 + 차관정치 전개됨
*통감이 차관을 일본인으로 앉힐수 있는 임명권 가지게 됨.
-군대 해산시킴
6.기유각서
-사법권 강탈
와.. 땅->외교권->군대해산->사법권 강탈 다가져갔음...
7.1910년 경술국치 (식민지 시작)
[애국계몽운동]
-사회진화론(살아남으려면 힘을 키워야한다)에 영향을 많이 받음 : 교육, 언론, 식산흥업(경제를 흥하게해야한다)
신민회
교육 - 오산학교, 대성학교
언론 - 대한매일신보 (양기탁, 베델이 지지)
식산흥업 - (도)자기 회사, 태극서권(책)
러일전쟁 때 많은 애국계몽운동 단체들이 나옴
(러일 전쟁 1904년때)
보안회
-일본의 황무지개간권 반대. 성공시킴
-with 농광회사와 함께 반대함
(2차 한일협약)
헌정연구회
-입헌군주제 지향
*전제군주제여서 을사늑약때 넘어가지 않았느냐..
-(대표적 친일 악질 단체)일진회 비판
-을사늑약 반대 -> 해산시킴
(헤이그 특사 파견~고종 퇴위)
대한자강회(1906)
*********시험에 많이 나옴
-입헌군주제 지향
-전국적인 지회, 월보 발행(월간지 같은것)
-고종의 퇴위를 격렬하게 반대 ->보안법에 위반했다고 하면서 해산시킴
(한일신협약 =정미7조약, 1907년)
신민회(1907년, 새로운 백성)
-공화정 지향(국민이 자신의 권력을 대통령에게 위임하는 것!)
-비밀결사임
**일제강점기 신간회도 나옴. 헷갈리지 말것!!!!!!!!!!!!!!!!!!!!!!!!!!!!!!!!!!!!!!!!!!!!!!!!!!!!!!!
-국외 독립운동 기지 건설
-일제강점기 1911년도 105인사건에 의해 해산됨
(경술국치 이후 일제강점기)
앞선 애국계몽운동은 일제강점기의 실력양성운동으로 연결됨
[개별적인 투쟁 모습]
(을사늑약 때)
-민영환 자결,
-장지연 "시일야방성대곡" (황성신문에 실림) '이날을 목놓아 통곡하노라'
-을사5적 암살단 조직(나철, 오기호가 이끔)
(한일신협약 1907년)
-전명운, 장인환의 스티븐스 처결(1908년, 샌프란시스코에서)
(기유각서 1909년)
-안중근->이토히로부미 처단
[의병운동]
위정척사파 때부터 시작
(강화도조약 체결시)
-최익현이 도끼들고 가서 상소 올림
(임오군란 전)
-영남만인소
(갑오개혁, 을미개혁)
-을미의병
->원인: 단발령, 을미사변
->유인석, 이소응 ->양반 유생 중심으로 주도
->아관파천 이후 고종이 해산 권고. 받아들여짐
(2차 한일협약 =을사늑약)
-을사의병
->원인: 을사늑약
->최익현, 민종식
->평민 의병장 신돌석
(한일신협약 = 정미7조약)
-정미의병
->원인: 군대해산 (박승환 자결하기도 함) ->의병의 전쟁화(의병의 규모가 커짐)
->13도 창의군 만듬->서울 진공작전 참여(이인영, 허위)
->국제법상 교전단체로 주장(=우린 당당한 군인인것이다)
-정미의병은 나중에 호남의병으로 연결됨
남한 대토벌 작전: 일본의 호남의병 토벌
->이 의병은 국외로 가서 항일 무장투쟁으로 전개됨
'공부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태성 한국사 고급] 33강 - 근현대사 개항기 문화 (0) | 2020.02.15 |
---|---|
[최태성 한국사 고급] 32강 - 근현대사 개항기 경제 (0) | 2020.02.15 |
[최태성 한국사 고급] 30강 - 근현대사 개항기(동학~대한제국) (0) | 2020.02.15 |
[최태성 한국사 고급] 29강 - 근현대사 개항기(개항~ 갑신정변) (0) | 2020.02.15 |
[최태성 한국사 고급] 28강 - 근현대사 개항기(흥선대원군) (0) | 2020.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