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성 한국사 고급] 32강 - 근현대사 개항기 경제

2020. 2. 15. 09:32공부/한국사

[최태성 한국사 고급] 32 - 근현대사 개항기 경제

 

크게 3덩어리로 구분해서 보기

물자 교육 뺏기는 과정 & 저항

이권 빼앗기는 과정

아예 경제 전체는 빼앗기는 과정

 

*관세 봐두기

 

강화도조약  -> 임오군란 ->갑신정변 ->동학농민운동 ->갑오/을미개혁 -> 아관파천 -> 대한제국 선포-> 러일전쟁 ->을사늑약 -> 정미7조약 ->경술국치

 

(강화도조약-1876)

 

-관세 없음

-최혜국 대우 규정 없음 -> 이게 나중에 다른나라한테까지도 영향을 주게 ..

-무제한 곡물 유출

-내지무역 허용안함 (간행이정10

->관세없어지니 만들었던 가내수공업자들 몰락하게 .

->내지무역안됐으니까, 중계해주었던 보부상/객주 전통상인은 돈을 벌게

 

(임오군란)

 

조미수호통상조약(82)

-최초로 서양과 맺은 조약

- 조약에 영향을 미친 : 황쮼센의 조선책략(수신사 김홍집이 가지고 들어온 , 방러(러시아방어)하기 위해서 연미(미국과 연대)해야한다)

-거중조정: 조서닝 다른나라와 문제가 생겼을 , 미국이 조정을 해주겠다

-관세 생김. 그전까지는 관세없었음

-최혜국대우 조항 생김

-보빙사 파견.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한 후에 것임

-미국갔다온 유길준 '서유견문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내지무역 허용됨

 

조일통상장정(83)

-방곡령. 무제한 곡물 유출조항을 없앰! ->실제로 시행은 89-90년도에 하게

내지무역 뚫리면서 전통상인들이 몰락하게 생겼어서, 자체적으로 상회사 만듬

-일종의 주식회사

-대동상회, 장통회사(83)

(갑신정변)

방곡령 본격적으로 시행 (89-90)

-지방관이 시행함

-함경도, 황해도에서 시행

-결과: 시행 제대로 못함. 배상금만 내게

             방곡령 사용하기 전에, 일본에게 한달전에 통보하고 하면되는데, 일본이 통보안받았다고 우기고 오히려 배상금 내놓으라고

 

(동학농민운동, 갑오/을미개혁)

은행 설립

-갑오개혁의 영향으로, 조세의 금납화 ->세금을 돈으로

->물건을 돈으로 바꾸기 위하면서 근대 은행이 설립됨

-최초 은행: 조선은행(1896) -여기는 나중에 닫음

-두번째 은행: 한성은행(1897) -지금의 신한은행(원래는 조흥은행이었는데, 여기를 신한은행이 인수합병함)

-천일은행(1899) -지금의 우리은행

 

 

(아관파천)

 

열강의 이권침탈이 정절에 이르게

 

러시아: 삼림채벌권, 절영도 조차(부산에 있는 . 석탄 창고로 쓰게) 요구, 한러은행 오픈

미국: 운산 금광 달라고 ( 채벌하려고), 경인선 부설권 가져감(나중에 일본으로 넘김)

프랑스: 광산채굴권, 경의선(나중에 일본이 가져감)

*일본은 철도만 관심 많았음. 나중에 식민지 지배하려고...띱때끼들

고종이 아관파천, 정권 하나 지키겠다고 나라 팔아먹고있는거야 지금

이권수호운동

-독립협회 주도(만민공동회)

->한러은행 폐쇄

->러시아의 절영도 조차 막아냄

 

상권수호운동

-황국중앙총상회 에서 주도(시전상인 중심) -종로 상인들 //황국중앙총상회와 독립협회가 분리된것은 아님. 같이 움직임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으로 인해 청나라 상인, 일본상인들 들어오면서 - 상인간의 경쟁이 격화됐음. (->이게 청일전쟁의 배경이 되기도 )

그리고 내지무역이 가능하면서 이들이 시전상인들과 경쟁하게 된것임

시전상인들이 존폐위기를 느끼면서 상권수호운동 펼치게

-철시 (시장 철수하는 등의 저항을 )

 

 

 

 

(러일전쟁)

 

일본 승리하면서, 조약맺으면서 가져가려는게 아니라, 아예 식민지 지배를 하려고 준비를

대한시설강령(일본인이 한국에 정착할 있는 방법 마련)

-황무지 개간 요구

*러일전쟁 , 한일의정서, 1 한일협약 여기서 맺게 (고문정치, 메가타/스티븐스)

황무지개간 반대운동

-보안회에서 주도

-농광회사에서도 같이 운동함

->이들에 의해 황무지개간반대에 성공함

**애국계몽운동이랑 같이 나옴

 

 

(을사조약)

 

화폐정리사업(메가타가 실행)

-백동화 ->제일은행권으로 바꿈. 우리화폐를 일본식화폐로 바꿈. 문제는 등가교환을 안해줌

->백동화를 많이 가지고 있었던 은행, 상인자본 타격이

->돈이 없으니까 일본에게 빌려오게 : 차관 많아짐.. 빚이 많아짐

-(백동화 만들었던전환국 사라짐

-금본위제 실행 

**은본위제 실행: 1 갑오개혁

국채보상운동(1907)

(차관이 많아지면서.. 나라 같이 갚아보자)

-나라 1300만원(당시 국가 예산 2년치)

-서상돈 주도, 대구에서 시작!!!

**일제강점기 1920년대 물산장려우동은 평양에서 시작한 것임.

-대한매일신보에서 홍보 많이 해줌

 

 

 

(정미7조약 이후 1908)

동양척식주식회사

-식민지 토대 구축을 만듬. 토지약탈.. 십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