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2. 12. 10:09ㆍ공부/한국사
[최태성 한국사 고급] 9강 고대 문화2
사진으로 삼국시대인지, 고구려백제 통일신라인지 반드시 구분해야함.
과학/건축/고분/일본과의교류
[과학 기술]
고구려: 천문도(왕권 강화를 의미, 농업사회), 천상열차분야지도(고구려 천문도 배경 별자리, 조선 태조 이성계 때 만들어짐)
백제: 칠지도(철모양 검, 백제-왜와의 관계를 보여줌)
신라: 천마총 금관(머리위에 쓰는 금관), 첨성대(하늘의 질서를 알수있는 별자리 관측 기구, 선덕여왕때 만듬)
선덕여왕->분황사, 황룡사 9층 목탑(*황룡사 는 진흥왕때, 황룡사9층석탑은 선덕여왕!)
통일신라: 상원사 종(성덕왕때 제작), 성덕대왕 신종(경덕왕 때 제작시작~ 혜공왕때 완료), 무구정광 대다라니경(불국사 3층석탑 수리중에 발견됨)->현존하는 최고의 목판 인쇄물
*경덕왕: 불국사, 녹읍 부활
*종: 부처님의 소리.
발해: x
[건축]
고구려: 안학궁(평양에 소재)-고구려가 도읍을 옮겼던 장수왕 남하정책 결과
백제: 미륵사(익산, 백제 무왕)
신라: 황룡사(진흥왕)
통일신라: 불국사, 석굴암, 안압지, 3층석탑(=석가탑)
통일신라 3종세트: 불국사, 석굴암, 불국사 3층석탑
발해: 상경 용천부 주작대로(당의 영향을 받은것)
*총: 무덤 주인 알수 없는 경우 ex)천마총, 각전총, 무용총 -천마도에서 나와서, 싸우는모양에서 나와서, 춤추는것에서 나와서..
능: 무령왕릉
[고분]
고구려: 돌무지 무덤(장군총) ->굴식돌방무덤으로 바뀜(입구가 있고, 벽화 있음. 도굴하기 쉬움->그래서 남아있는것이 없음..)
백제: 고구려와 이어짐. 돌무지무덤(석촌동 고분군) ->똑같이 굴식돌방무덤+ 벽돌무덤(무령왕릉)으로 바뀜
*벽돌무덤-> 중국 남조와의 교류를 알 수 있음.
무령왕릉- 공주 웅진시대때로 볼 수 있음
돌무지무덤-추정컨데 근초고왕 무덤일 것.
정림사지5층석탑 - 부여에서 볼 수 있음
백제 문화유산이 한성/웅진/사비/부여 어디에 있는지 반드시 기억해둬야함.
신라: 돌무지 덧널무덤 형태(천마총)-관에다 관을 한번 더 씌운 후 돌로 덮고, 그 위롤 또 흙으로 덮음. 입구 없음, 벽화 없음, 도굴 어려움
*천마총에 있는 입구는 후손들 보라고 정부가 임의로 만든것임. 원래는 없음.
통일신라: 굴식돌방무덤으로 연결 됨(ex-김유신묘), 돌을 테두리에 두름
발해: 정혜공주(문왕 둘째딸)- 굴식돌방무덤(고구려 모양),발해 돌사자 상이 발견됨
정효공주(문왕 4째딸)-벽돌무덤 형태(중국모양)
[일본과 교류]
고구려:
다카마쓰 고분벽화 =수산리 고분벽화와유사(여성들의 옷)
담징(종이, 먹 전파), 혜자 (사람이름임)
백제: 백강전투가 있을만큼, 일본이 백제 잘 도와줌.
고류사에 있는 미륵보살 반가사유상(목조임) =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과 유사
아직기, 왕인(인물이름) -> 백제 사찰인 백제 가람
백제의 진정한 유물을 보려면 일본에 가는게 공주가는것보다 더 낫다.
신라: 조선술(배 만드는 방법), 축제술(제방을 쌓는 기술, 한인의 연못)
삼국시대의 교류는 일본의 아스카 문화에 영향을 줌. 규슈(온천 유명)에는 한반도를 거처간 사람들의 흔적이 많다.
*가야: 일본의 스에키 토기(쇠..? 단단한 토기) = 가야의 토기가 유사
*일본의 그릇에는 한반도, 삼국시대 문화가 엄청 많은 영향을 미쳤음.
*********************
일본의 하쿠호 문화(미술사에서 쓰이는 명칭)
통일신라
발해
'공부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태성 한국사 고급] 11강 고려 중기정치~무신정변 (0) | 2020.02.13 |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0강 중세 고려 초기 (0) | 2020.02.13 |
[최태성 한국사 고급] 8강 고대 문화 (0) | 2020.02.12 |
[최태성 한국사 고급] 7강 고대 경제, 사회 (0) | 2020.02.12 |
[최태성 한국사 고급] 6강 고대 통일신라 발해 (0) | 2020.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