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성 한국사 고급] 9강 고대 문화2

2020. 2. 12. 10:09공부/한국사

[최태성 한국사 고급] 9 고대 문화2

 

사진으로 삼국시대인지, 고구려백제 통일신라인지 반드시 구분해야함.

 

과학/건축/고분/일본과의교류

 

[과학 기술]

고구려: 천문도(왕권 강화를 의미, 농업사회), 천상열차분야지도(고구려 천문도 배경 별자리, 조선 태조 이성계 만들어짐)

백제: 칠지도(철모양 , 백제-왜와의 관계를 보여줌)

신라: 천마총 금관(머리위에 쓰는 금관), 첨성대(하늘의 질서를 알수있는 별자리 관측 기구, 선덕여왕 만듬)

          선덕여왕->분황사, 황룡사 9 목탑(*황룡사 진흥왕때, 황룡사9층석탑은 선덕여왕!) 

통일신라: 상원사 (성덕왕때 제작), 성덕대왕 신종(경덕왕 제작시작~ 혜공왕때 완료), 무구정광 대다라니경(불국사 3층석탑 수리중에 발견됨)->현존하는 최고의 목판 인쇄물

*경덕왕: 불국사, 녹읍 부활

*: 부처님의 소리

발해: x

 

[건축]

고구려: 안학궁(평양에 소재)-고구려가 도읍을 옮겼던 장수왕 남하정책 결과

백제: 미륵사(익산, 백제 무왕)

신라: 황룡사(진흥왕)

통일신라: 불국사, 석굴암, 안압지, 3층석탑(=석가탑)

통일신라 3종세트: 불국사, 석굴암, 불국사 3층석탑

발해: 상경 용천부 주작대로( 영향을 받은것)

 

*: 무덤 주인 알수 없는 경우 ex)천마총, 각전총, 무용총 -천마도에서 나와서, 싸우는모양에서 나와서, 춤추는것에서 나와서..

: 무령왕릉

 

 

[고분]

고구려: 돌무지 무덤(장군총) ->굴식돌방무덤으로 바뀜(입구 있고, 벽화 있음. 도굴하기 쉬움->그래서 남아있는것이 없음..)

백제: 고구려와 이어짐. 돌무지무덤(석촌동 고분군) ->똑같이 굴식돌방무덤+ 벽돌무덤(무령왕릉)으로 바뀜

         *벽돌무덤-> 중국 남조와의 교류 있음.

         무령왕릉- 공주 웅진시대때로 있음 

         돌무지무덤-추정컨데 근초고왕 무덤일

         정림사지5층석탑 - 부여에서 있음

     백제 문화유산이 한성/웅진/사비/부여 어디에 있는지 반드시 기억해둬야함.

신라: 돌무지 덧널무덤 형태(천마총)-관에다 관을 한번 씌운 돌로 덮고, 위롤 흙으로 덮음. 입구 없음, 벽화 없음, 도굴 어려움

         *천마총에 있는 입구는 후손들 보라고 정부가 임의로 만든것임. 원래는 없음.

통일신라: 굴식돌방무덤으로 연결 (ex-김유신묘), 돌을 테두리에 두름

발해: 정혜공주(문왕 둘째딸)- 굴식돌방무덤(고구려 모양),발해 돌사자 상이 발견됨

         정효공주(문왕 4째딸)-벽돌무덤 형태(중국모양)

 

[일본과 교류]

고구려:

         다카마쓰 고분벽화 =수산리 고분벽화와유사(여성들의 )

         담징(종이, 전파), 혜자 (사람이름임)

백제: 백강전투가 있을만큼, 일본이 백제 도와줌.

          고류사에 있는 미륵보살 반가사유상(목조임) = 금동 미륵보살 반가사유상과 유사

         아직기, 왕인(인물이름) -> 백제 사찰인 백제 가람

              백제의 진정한 유물을 보려면 일본에 가는게 공주가는것보다 낫다

신라: 조선술( 만드는 방법), 축제술(제방을 쌓는 기술, 한인의 연못)

         

삼국시대의 교류는 일본의 아스카 문화에 영향을 . 규슈(온천 유명)에는 한반도를 거처간 사람들의 흔적이 많다

*가야: 일본의 스에키 토기(..? 단단한 토기) = 가야의 토기가 유사

*일본의 그릇에는 한반도, 삼국시대 문화가 엄청 많은 영향을 미쳤음.

 

*********************

일본의 하쿠호 문화(미술사에서 쓰이는 명칭)

통일신라

발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