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2. 14. 09:20ㆍ공부/한국사
[최태성 한국사 고급] 20강 - 조선 전기 문화1
**문화파트는 다 시험에 잘나옴 사진!
<유학>
서경덕 -> 조식/이황 : 동인당(훈구 세력 강경파, 젊은이들, 이조전랑-인사권을 어떻게 차지할것인지로 또 구분)
-서경덕+조식: 북인당
-이황: 남인당
(이황vs) 이이, 성혼 : 서인당(훈구 세력온건파, 노인들)
-이이: 노론당
-성혼: 소론당
이황 (저서 알아둘 것, 천원)
'-주자서절요' : 주자-성리학을 집대성한 중국 송나라 사람
-'성학십도' - 성스러운 학문(성리학)의 10개의 그림. 성학십도는 그림이 있음!
-이황의 유학은 일본 성리학에 많은 영향을 미침(->임진왜란 후 우리 성리학자들이 일본에 많이 끌려가서)
-이황은 '이'를 중요시 여김.
->이: 사물의 본질, 보이지 않는 본질.. ex)긍정적임, 착함
이이(오천원)
-'동호문답' 문답형으로 나온것
-'성학집요': *이황의 성학십도와, 이이의 성학집요가 많이 헷갈림.
-이이는 현실 개혁적
-이이는 '기'도 중요하게 여김 -> '이'와 '기' 둘다 중요하게 여김
이황: 이이의 선배
이황시절, 이이는 야당이었음. 그래서 훈구를 비판함.
시간이 흐른뒤, 이이는 집권세력이 되면서(여당) '기'를 강조한것이 아닌가.
<교육기관>
한양
-성균관(조선의 대학교)
-사학(동서남북) -중고등학교
지방
-향교 -중고등학교
-서원: 민간에서 만든 곳 -중고등학교+대학교
*성균관, 사학, 향교: 국가 주도로 만든 곳
->서원: 교육+제사 담당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 (주세붕이 세운)백운동 서원 -> 소수서원으로 개명 : 사액서원
*성리학을 우리나라에 최초에 도입한사람: 안향 . 소수서원에 안향을 모시고 있음
*이황을 모신 서원: 도산서원
*고대 교육기관: 소수림왐- 태학, 통일신라 신문왕-국학, 발해-주자감, 고려시대-국자감, 지방의 장수왕 평양천도때 만든 '경당' , 조선시대 성균관, 향교, 서원
<불교~법전>
불교 |
숭유억불(불교 억제) -> 도첩제(승려 면허증 발급해야 승려되게끔), 교단정리(세종때 시행)/ '석보상절' 책 만듬(수양대군때), 수양대군이 세조가 된후 만든 기구 '간경도감'(불교 경전을 단행) *세조가 많이 죽여서 죄가 많아서 불교에 관심이 많았어 |
역사(책) |
'고려국사'(정도전 저서), '고려사'(기전체 방식으로 쓰여짐), '고려사절요'(편년체) *고려에 대해 많이 쓴 이유. 쿠데타를 이용해서 조선을 세웠기 때문에 후대에 욕먹을까봐 건국의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책 많이 만듬 *기전체: 방대하게 서술 *편년체: 연대기처럼 작성 '동국통감' :편년체, 고조선부터 고려시대까지 쓰여진 통사(성종때 편찬) |
지리 |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현존하는 동양 최고의 세계지도, 태종때 만듬) 마지막 '지': 갈지자, 도: 그림도 ~의 그림 '동국여지승람' : 지리서->중앙집권체제 강화하기 위해 만듬(나중에 조선후기에 사용되는 지리는 진짜지도역할임..)(성종떄 편찬) *태종: 호패법,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사병 혁파 |
윤리 |
'삼강행실도' -글+그림으로 엮음(세종때 편찬) ex)여성의 정조 지키기(당시에는 여성 스스로의 판단이긴 했지만, 그 판단 또한 성리학적 이데올로기가 학습되어서 만들어진 것임.) |
법전 |
'경국대전'(세조~성종때 완성) *성종때 만들어진 책자: 동국통감, 동국여지승람, 그리고 경국대전: 성종의 3대 편찬사업(근데 세종이 너무 강해서 세종이 시험에 더 많이나옴) |
'공부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태성 한국사 고급] 22강 - 조선 후기 정치 (0) | 2020.02.14 |
---|---|
[최태성 한국사 고급] 21강 - 조선 전기 문화2 (0) | 2020.02.14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9강 - 조선 전기 경제, 사회(후기가 더중요) (0) | 2020.02.14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8강 - 조선 전기 외교 (0) | 2020.02.14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7강 - 조선 전기 조직 (0) | 2020.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