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성 한국사 고급] 19강 - 조선 전기 경제, 사회(후기가 더중요)

2020. 2. 14. 09:19공부/한국사

[최태성 한국사 고급] 19 - 조선 전기 경제, 사회(후기가 더중요)

 

<경제>

 

 

-

15세기

16세기

토지제(수조권)

(국가-공무원 관계)

 

과전법

-경기도 /현직 관리에게 제공                       

수신전, 휼양전

(원래는 세습이 안됨)

-수신전(믿음을 있는 토지), 남편이 죽으면 부인이 다른남자와 결혼하지 않도록 과부에게 지급하는 토지

휼양전: 아버지 돌아가시면 자식들이 아비가 받던 과전일부를 받음

 

직전법(토지부족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세조때 시행)

-현직에게만 제공, 수신전, 휼양전 폐지 

->관리들이 받을게 없어지니까 챙길것을 챙김

정부: 직전법+ 관수관급제 시행

*관이 거두어서 관이 나눠줌

직전법 제도 완전히 폐지 

-녹봉제도 실시

-수조권 제도 소멸을 의미

조세제

(국가-백성 관계)

*백성->소유권자로부터 거두는 세금

 

근데 국가가 토지를 관리들에게 줬어. 과전법,공법에 의해 백성들은 관리에게 세금을 내는거야

 

과전법 시행

-고려말 공야왕때 시행(신진사대부 경제기반강화 시킨 제도)

-1/10 걷음

 

공법 시행

-세종때 실시

-전분6등법(토지비옥도에 따라 6등법구분),

 연분9등법(/흉년에 따라 9등법구분)

->두개를 복합적으로 사용 54개까지 나옴

최저세율(관행적으로) 내도록

지대

(양반-소작농 관계)

*소작농: 토지가 없어서 양반에게 땅을 빌리고, 거둔 수확물 일부를 양반에게 내는

-1/2 걷음(=타조법. 타작할때의 , 병작반수제)

*양반들이 직전법폐지되고, 자기네들게 적어지니까 많이 거두는것.

공납

특산물( 단위로, 집집마다 )

방납업자(공납하는 것을 방해하는, 자기가 특산물을 대신 내주는 사람)

-문제: 방납업자한테 사는 공납은 비쌈. 근데 방납업자가 지방관인 사또와 비리를 저지름

방납의 폐단이 심해짐

군역->요역 : 군역의 요역화 현상이 일어남

군역이 너무 힘들어서 다들 안가려고함

대립, 방군수포

*대립: 대신 세워줌

*방군수포: 돈내면 빼줌

방납폐단+대립, 방군수포 : 임꺽정 출현

 

 

*세종은 반드시 한문제는 나옴

 

 

 

<사회>

[신분제]

양반--------중인---------상민----------천민

*양쪽의 무반과 문반을 합쳐서 양반이라고 했음

*양인: 양반+중인+상민, 과거 응시 가능

-중인: 하급관리, 서얼( 자식)

-상민: 신량역천(신분은 양인인데 하는일() 천해- 봉수꾼-봉수대 지키는 사람, 수군-노젓는사람)

-천민: 노비가 많음, 백정

*고려시대 백정: 일반 농민임

 

 

[법률]

*고려시대: 관세법, 당률

-대명률(명나라 , 형법) + 경국대전(세조~성종, 민법) > 관세법보다 우위

*고려시대보다 시스템이 갖춰진 것임

-관찰사, 수령(지역 관리자) = 사법권, 행정권, 군사권 보유 -> 2 갑오개혁때 재판소 설치 ->사법권이 떨어져 나옴. 매우 힘이 셌다

 

[사회제도]

= 국가의 (국가에 세금 내니까, 일반 사족들한테 지대 ->국가와 양반들에게 토대가 되는 사람들임)

->농민사회 안정화 시켰음

->농민을 어떤 방법으로 통제했는가?

 

(안정화방법)

-구휼제도: 의창, 상평창(물가조절기구, 춘대추납)

-의료: 서울에는 /서대비원), 혜민국(고려시대와 동일) / 지방에는 제생원 / 유랑하는 사람들을 위한 /서활인서

 

(농민 통제 방법)

-국가가 통제하는 방법: 호패법(도망가는 것을 막아야함. 태종때 실시), 오가작통(5 집을 하나로 묶어서 서로 감시할것)

-사족이 통제하는 방법: 향약

     *신진사대부들의 3 힘키운 요소: 유향소-여론통제, 서원-인재양성, 향약-농민통제

 

 

[농민들의 향촌사회] 향촌=군현단위가

-중앙: 관찰사 파견 (관찰사가 있는곳: 감영), (경재소-서울에 있는곳, 유향소 감시)

-(관찰사 밑에 )수령 존재(관찰사는 수령 감독함)

*수령은 상피제 있음(그지역에서 태어난 사람은 지역 관리 못함-부정부패를 막음. 조선이 500 이유)

-수령보좌하는 역할

->향리(향리는 사족,수령을 감시 감독)

->사족(양반들): 향촌에서 하는 역할, 힘의 원천 3가지

     -유향소: 향촌에 있는 기구. 여론 형성(자신들의 입지 구축)

     -: 농민통제

     -서원: 인재 양성

->농민

       *향촌조직 민이 살고있는 조직 구성(면리제): >>5개를 묶은 오가작통 으로 구성

          *->부목군현 아래에 있는 단위

       + 농민들의 자체 조직: 향도, 두레(농촌 공동체)

 

조선은 굉장히 세밀하게 구성되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