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2. 14. 09:22ㆍ공부/한국사
[최태성 한국사 고급] 22강 - 조선 후기 정치
사림의 정권 장악 후 붕당 형성
1. 첫번째 붕당: 동인당, 서인당
-동인 서인 구분: 척신잔재(훈구세력 처리방법), 이조전랑(인사권) 누가 가질것인지로 구분
-동인: 강경, 젊은이. 서인: 온건, 노인파
2.두번쨰 붕당: 동인당이 북인/남인당으로 구분(선조때 1592년)
-북인/남인 나뉜배경: 동인/서인 처음 나뉠땐 동인이 힘을 잡음.
->정여립이라는 사람이 원래는 서인인데 동인쪽으로 감. 정여림 모반사건이 일어나면서 (선조 때) 동인당이 수세에 몰리면서 권력이 서인에게 넘어감.
->동인을 몰아치는데 앞장선 서인이 정철. 정철이 선조에게 세자책봉 건의를 올림. 이 핑계로 권력이 다시 동인에게 넘어감.
그리고 그 중, 북인이 권력을 갖게 됨.
-북인: 서인에 대한 강건파, 남인:서인에 대한 온건파
-북인당: 강건파
->1592년 광해군(선조 아들, )
-중립외교
-대동법(토지에 세금 부과)
-영창 죽이고, 인목대비 폐위시킴
-> 이때 서인들이 인조반정을 일으킴 & 남인들도 함께 동참하면서 북인들을 몰아냄
3. 남인+ 서인 : 사림들의 붕당정치
-붕당정치 키워드: 공존(높낮이는 있겠지만, 같이가자)
-붕당정치 중 예송논쟁 발생(현종때 발생)
*예송논쟁: 효종의 계모였던 자의대비의 상복착용기간에 대한 논쟁
****************************************************************************************************************************
**예송논쟁 내용**
인조 첫째아들 소현세자가 중국물건들 가져오니까, 아버지 인조가 '내가 삼전도 하면서 열받는데 이걸가져와! '하면서 빡치면서.. 소현세자한테 벼루던져서 병사
인조의 둘째아들 효종이 죽음.
효종이 죽었을 때, 인조가 어린 자의대비를 들임. 자의대비가 효종보다 어림...
장남이 아닌경우, 상복착용 기간
서인 주장: 1년 주장. /효종비 9개월 (원칙주의)
남인주장: 3년 주장. / 효종비 1년 (둘째였어도, 왕이긴 왕이다. 왕대우 해야한다)
효종이 죽었을 때, 현종이 뭣모르고 서인의 주장을 받아들임.
그리고 현종 와이프가 죽음.
근데 현종와이프가 죽었을 때에는, 효종이 머리가 컸음. 왕대우를 해줘야한다는 남인의 주장을 받아들이게 됨.
****************************************************************************************************************************
4. 환국정쟁(숙종때) 17세기
-일당전제.
-최종적으로 남인은 탈락하고 서인은 살아남게 됨.
일단 별 문제가 아니라고 판단해서 숙종은 서인만 남겨두긴 했지만, 원칙주의였던 서인이 마음에 들지 않았음.
그래서 송시열을 공격함. 꼬맹이 중딩이 서인의 거목이었던 송시열을 공격한것임. '송시열이 잘못했다고 적어라'
그 후 송시열 사형당함. -> 암튼 최종적으로는 남인 탈락& 서인만 살아남음
*당시 서인의 거목: 송시열
**조선에서 훌륭했던 왕 3명: 태종, 세종, 숙종**
숙종이 장희빈 치마폭에 놀아난 사람이 아냐.
남인과 서인의 권력을 이용하면서 힘을 극대화시켰어.
5. 서인이 소론과 노론 으로 나뉨
*주류는 서인, 노론임.
**소론- 경종 지지세력, 노론-영조 지지세력
*영조: 어머니가 천민출신임.
탕평정치
-주도했던 왕: 영조와 정조
<탕평정책> 18세기
- |
방법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영조 (아들 사도세자 죽임) |
완론탕평 -붕당을 인정하지 않음 |
1.산림인정x* ->송시열같은 사람들 2.서원(붕당근거지)정리 *흥선대원군 때 한번 더함 3.전랑권한 축소 4.경국대전 속편인 속대전 간행 |
균역법 (1년1필) *조세,공납, 역 중 역->포를 내면 군대 빠질 수 있었음. 근데 그 포를 거두는데서 비리가 많았음. 그래서 아예 법으로 정함. 1년에 1필!(양반은 내지 않음) *박문수: 영조의 사랑을 받은자. 청렴한자. 김영란법처럼, 박문수법을 만들기도 했음. 균역법 대신 호포법(양반도 내라!)을 주장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아서 사표. |
사형수 3심제 (3번까지 항소) |
동국문헌비고(~정조) |
정조 |
준론탕평 -붕당 인정함. 대신 똑똑한 붕당 쓰겠다->시시비비를 가리겠다. |
규장각 - 초계 문신제 시행 (초짜 문신들을 정조가 직접교육) *왕권강화를 위해 신진세력 끌어들임 *(성균관, 홍문관, 규장각)
장용영이라는 군사를 키움
대전통편 법전 만듬 |
신해통공 정책 (신해년에 금난전권 폐지) 난전권을 금함! 금 난전권: 시장의 가게 앞 포장마차 운영도 하게해줌 |
향약을 수령들에 의해 운영하도록 함 *기존의 향약은 지방의 대장들이 운영하는것인데, 중앙집권화하기 위해 수령을 파견한 것임.
수령:중앙에서 지방에 파견한, 중앙의 사람들 |
수원 화성 |
정조가 똑똑해서 잘 돌아갔던건데, 정조가 죽으니, 어눌하고 멍청한 왕들을 세우기 시작함. -> 세도 정치
<세도정치> 19세기
-소수가문들(안동김씨, 풍양조씨)에 의해 이끌어감
-비변사, 5군영 장악
-매관매직 성행
-삼정 문란->전정(토지세), 군정(포 내는 것), 환곡(춘대추납) ->관리들이 세금걷는걸로 장난을 침.
'공부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태성 한국사 고급] 24강 - 조선 후기 경제 (0) | 2020.02.14 |
---|---|
[최태성 한국사 고급] 23강 - 조선 후기 조직, 외교 (0) | 2020.02.14 |
[최태성 한국사 고급] 21강 - 조선 전기 문화2 (0) | 2020.02.14 |
[최태성 한국사 고급] 20강 - 조선 전기 문화1 (0) | 2020.02.14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9강 - 조선 전기 경제, 사회(후기가 더중요) (0) | 2020.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