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성 한국사 고급] 20강 - 조선 전기 문화1

2020. 2. 14. 09:20공부/한국사

[최태성 한국사 고급] 20 - 조선 전기 문화

**문화파트는 시험에 잘나옴 사진!

 

<유학>

서경덕 -> 조식/이황 : 동인당(훈구 세력 강경파, 젊은이들, 이조전랑-인사권을 어떻게 차지할것인지로 구분)

-서경덕+조식: 북인당

-이황:              남인당

(이황vs) 이이, 성혼 : 서인당(훈구 세력온건파, 노인들)

-이이: 노론당

-성혼: 소론당

 

이황 (저서 알아둘 , 천원)

'-주자서절요' : 주자-성리학을 집대성한 중국 송나라 사람

-'성학십도' - 성스러운 학문(성리학) 10개의 그림. 성학십도는 그림이 있음!

-이황의 유학은 일본 성리학에 많은 영향을 미침(->임진왜란 우리 성리학자들이 일본에 많이 끌려가서)

-이황은 '' 중요시 여김

->: 사물의 본질, 보이지 않는 본질.. ex)긍정적임, 착함

 

 

 

이이(오천원)

-'동호문답' 문답형으로 나온것

-'성학집요': *이황의 성학십도와, 이이의 성학집요가 많이 헷갈림.

-이이는 현실 개혁적

-이이는 '' 중요하게 여김 -> '' '' 둘다 중요하게 여김

 

이황: 이이의 선배 

이황시절, 이이는 야당이었음. 그래서 훈구를 비판함.

시간이 흐른뒤, 이이는 집권세력이 되면서(여당) '' 강조한것이 아닌가

 

<교육기관>

 

한양

-성균관(조선의 대학교)

-사학(동서남북) -중고등학교

 

지방

-향교 -중고등학교

-서원: 민간에서 만든  -중고등학교+대학교

*성균관, 사학, 향교: 국가 주도로 만든

->서원: 교육+제사 담당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 (주세붕이 세운)백운동 서원 -> 소수서원으로 개명 : 사액서원

*성리학을 우리나라에 최초에 도입한사람: 안향 . 소수서원에 안향을 모시고 있음

*이황을 모신 서원: 도산서원

 

*고대 교육기관: 소수림왐- 태학, 통일신라 신문왕-국학, 발해-주자감, 고려시대-국자감, 지방의 장수왕 평양천도때 만든 '경당' , 조선시대 성균관, 향교, 서원

 

<불교~법전>

 

 

불교

숭유억불(불교 억제) -> 도첩제(승려 면허증 발급해야 승려되게끔), 교단정리(세종때 시행)/ 

'석보상절' 만듬(수양대군때), 수양대군이 세조가 된후 만든 기구 '간경도감'(불교 경전을 단행

*세조가 많이 죽여서 죄가 많아서 불교에 관심이 많았어

역사()

'고려국사'(정도전 저서), '고려사'(기전체 방식으로 쓰여짐), '고려사절요'(편년체)

  *고려에 대해 많이 이유. 쿠데타를 이용해서 조선을 세웠기 때문에 후대에 욕먹을까봐 건국의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많이 만듬

  *기전체: 방대하게 서술 *편년체: 연대기처럼 작성

'동국통감' :편년체, 고조선부터 고려시대까지 쓰여진 통사(성종때 편찬)

지리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현존하는 동양 최고의 세계지도, 태종때 만듬) 마지막 '': 갈지자, : 그림도 ~ 그림

'동국여지승람' : 지리서->중앙집권체제 강화하기 위해 만듬(나중에 조선후기에 사용되는 지리는 진짜지도역할임..)(성종떄 편찬)

*태종: 호패법,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사병 혁파

윤리

'삼강행실도' -+그림으로 엮음(세종때 편찬)

ex)여성의 정조 지키기(당시에는 여성 스스로의 판단이긴 했지만, 판단 또한 성리학적 이데올로기가 학습되어서 만들어진 것임.)

법전

'경국대전'(세조~성종때 완성)

*성종때 만들어진 책자: 동국통감, 동국여지승람, 그리고 경국대전: 성종의 3 편찬사업(근데 세종이 너무 강해서 세종이 시험에 많이나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