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성 한국사 고급] 10강 중세 고려 초기

2020. 2. 13. 09:10공부/한국사

[최태성 한국사 고급] 10 중세 고려 초기

 

고려 정치

시기 구분할것      무신정변을 기점으로 고려 전기/후기 구분

918---------------------------------1170------------------------------------------------1392

건국------------------------------무신정변---------------------------------------------고려멸망

-------고려 전기(초기+중기)-----무신정변-------------------고려 후기----------------------------

---------------------------------------------------몽골이 침입, 몽골에 의한 간섭기------------

 

 

호족+6두품

=>중앙으로 진출: 문벌 귀족----->무신들에 의해 무너짐(무신정변)-> 권문세족(원에 빌붙은 세력)

=>지방으로 진출: 향리---------->신진사대부(성리학으로 무장한 사람들). 신진사대부가 권문세족 때리고 조선 건국

주류가 아닌 비주류가 다음 세대를 이끌어가는 패턴이 있음.

ex)신라, 향리 

 

 

918 태조 왕건

공산전투, 고창전투(vs 견훤)

공산(, 대구)전투에서 왕건이 죽다 살아남. 왕건이 .

고창(, 안동)전투: 공산전투에 복수. 왕건이 이김

그리고 고려 세움 

 

[태조 정책] : 호족 연합정권인

-민생 안정: 감세 정책(세금 1/10 깎아주기), 흑창 운영(나중에 의창과 연결, 고구려 진대법-춘대추납 제도와 같음)

-호족 정책: 당근과 채찍 정책

                   당근 정책: 결혼(왕건이 호족 딸이랑 결혼함. 왕건 부인 29), 사성제도(왕씨 성을 내리는 ->가족 만드는것), 역분전(역할에 따라 토지 제공)

                   채찍 정책: 사심관(연대 책임) 신라 마지막 경순왕에게 사심관 역할을 ,

                                     기인제도(인질제도-지방에서 반란일으킬 같은 사람의 자식을 데려옴.)

                                                   *신라시대 상수리제도와 얼추 비슷. 그러나 기인제도는 강제로 오게됨.

-북진정책: 고려 서경 중시(나중에 평양) 청천~ 영흥강까지 영토 넓힘

-정계, 백료서(정치 법칙, 백료-신하들이 지켜야할 ), 훈요 10(유언서,자식 많아서 후세 정하기 힘드니까)

 

 

[왕규의 ] - 왕위쟁탈전 

 

 

[광종 정책] - 무서운 사람. 태조왕건 후반에 약해진 왕권을 엄청나게 강화시킨 사람

왕규의 난처럼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왕이 되었음. 그래서 7년동안 ~무것도 안함

-노비 안검법: 억울하게 노비가 원래 양민인 노비를 양민으로 돌리는  

                         목적: 왕권강화, 재정안정-> 노비는 세금안냄. 양민부터 세금

-과거제 시행: 광종이 끝을 호족/귀족들에게 향하게 하는 것임.

                     *신라 하대 원성왕때 독서삼품과 시행못함 -> 고려 광종때 과거제 시행.

                     그래서 귀족들이 광종 제거작전을 시행하려고 . 광종은 공격을 기다린것임.(고려 건국한 공신들을 명분없이 없앨수는 없으니까)

                     *노비는 귀족들의 군사력이 될수도 있음. 그래서 과거제 시행 전에 노비안검법을 먼저 시행한 것임. 똑똑함

-관리들 공복 제정

-칭제건원 ' 황제야. 연호를 사용' (광덕, 준풍) ->광종의 엄청난 권력 집중

 

[경종 정책]

-시정전시과(처음으로 정한, 등급에 따라, 토지와 임야를 주는 토지제도 -역분전 시대는 끝남)

 

[성종 정책] - 틀이 잡힘

-최승로의 시무28 받아들임

*최승로: 6두품 집안, 유학을 중시한 사람

->중앙제도: 26 시스템

   지방제도: 지방 12목에 지방관 파견(지방 호족들 장악->왕권 강화)

   * 최초로 지방관을 파견한 사실임.

->연등회(석가탄신일 ) 줄임. (유학자 입장에서 불교 행사가 너무 ) 팔관회 금지

-> 최승로는 광종 되게 싫어함.

문벌귀족사회의 토대 마련

 

 

 

 

행정조직

-중앙행정조직

26 시스템 

/*당나라 영향*/

->중서문하성: - 2품이상(고위관료), 정책 심의

                        낭사 - 3품이하, 언론 역할

->상서성: ///// 6 - 실질 정책 실행 기구

                 이부: 행정부,             병부: 국방부,             호부: ,재정경제부,

                 형부: 법과 관련 검찰, 예부:교육부,외교부  공부: 건설교통부

              *고려시대는 엄청난 왜침이 있어서 국방부(병부) 중요했음

 

/*송나라 영향*/

->중추원: - 2품이상, 군국 기무(국가 기밀) 담당

                 승선 - 3, ->비서 기능

->어사대: 감찰기구(암행어사)

->삼사: 고려시대 삼사는 회계만 담당. 언론기능 담당 아님

             (조선시대 삼사는 언론기능 담당함)

 

/*고려만의 독자적 기구*/

재추회의: 재신+추밀 회의(2품이상들 회의). 문관중심 회의(고려는 문벌나라야)

병마사: 병마사(국방 요직에 파견된 지방관) 지도하는 기구

                        나중에 도편 의사사(=도당)

                       병마사는 원래 임시기구였지만 상설기구가 (나중에 조선시대 비변사와 유사한 기구)

식목도감: 여러 (결혼식 )들을 차례 의해 움직이게 하는 기구

*중방회의: 무관 중심 회의. 무신정변 이후 중방중심으로 권력이동

 

대간(=대성): 낭사+어사대. 언론기능 담당. 고려 삼사와 반드시 비교할 ! 삼사는 언론기능 없음

                     서경(서명), 간쟁(폐하 이러시면 안됩니다), 봉박(편지 다시봉해서 돌려보내는 )

 

 

-지방행정조직

12 파견 -> 5 양계로 나뉨 이원화 되어있음

                      *5: 행정 기능, 양계: 군사 기능

북계; 천리장성- 거란, 여진이 쳐들어올 막아주는 역할을 . 부근에 북계를 설치

동계: 왜구 침입 막기 위해 설치

 

*고려시대는 지방관이 일부지역에만 파견함. 조선시대 가서야 전국에 파견함

5: 4도호부 8목으로 나누고(4+8=12), 8목을 다시 //현으로 나눔

        안찰사: 중앙에서 5도에 파견된 관리들. 상설기구는 아님

          (조선시대 관찰사는 머무르는 곳이 있는반면, 안찰사는 떠돌아다님. 그래서 상설기구)

지방 수령(사또): 중앙에서 4도호부 8 주군현 파견된 관리

향리: 주군현에 속해있는 '속군, 속현, /부곡/' 다스림. 해당 지역의 실질적인 지배세력

*향리는 중앙에서 파견하지 않음!

*조선시대 향리는 후짐. 고려시대 향리는 실질적 지배세력임. 이들중 나중에 신흥무인세력, 신진사대부, 조선건국의 씨앗집단임

병마사:                 중앙에서 북계, 양계 파견된 관리들

 

 

 

 

[군사체제]

중앙군: 2 6

             -군적있음(군인 list) ->직업군인 ->군인전 지급받음(일한 댓가로 토지받음)

지방군:

-주진군: 5 다스리는 사람. 군적 없음. 상비군 현태임

-주현군: 양계지역에 주둔하는 사람. 군적 없음. 예비군 형태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