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2. 13. 09:10ㆍ공부/한국사
[최태성 한국사 고급] 10강 중세 고려 초기
고려 정치
시기 구분할것 무신정변을 기점으로 고려 전기/후기 구분
918---------------------------------1170------------------------------------------------1392
건국------------------------------무신정변---------------------------------------------고려멸망
-------고려 전기(초기+중기)-----무신정변-------------------고려 후기----------------------------
---------------------------------------------------몽골이 침입, 몽골에 의한 원 간섭기------------
호족+6두품
=>중앙으로 진출: 문벌 귀족----->무신들에 의해 무너짐(무신정변)-> 권문세족(원에 빌붙은 세력)
=>지방으로 진출: 향리---------->신진사대부(성리학으로 무장한 사람들). 신진사대부가 권문세족 때리고 조선 건국
주류가 아닌 비주류가 다음 세대를 이끌어가는 패턴이 있음.
ex)신라, 향리
918년 태조 왕건
공산전투, 고창전투(vs 견훤)
공산(현, 대구)전투에서 왕건이 죽다 살아남. 왕건이 짐.
고창(현, 안동)전투: 공산전투에 복수. 왕건이 이김
그리고 난 후 고려 세움
[태조 정책] : 호족 연합정권인 셈
-민생 안정: 감세 정책(세금 1/10 깎아주기), 흑창 운영(나중에 의창과 연결, 고구려 진대법-춘대추납 제도와 같음)
-호족 정책: 당근과 채찍 정책
당근 정책: 결혼(왕건이 호족 딸이랑 결혼함. 왕건 부인 29명), 사성제도(왕씨 성을 내리는 것->가족 만드는것), 역분전(역할에 따라 토지 제공)
채찍 정책: 사심관(연대 책임) 신라 마지막 경순왕에게 사심관 역할을 줌,
기인제도(인질제도-지방에서 반란일으킬 것 같은 사람의 자식을 데려옴.)
*신라시대 상수리제도와 얼추 비슷. 그러나 기인제도는 강제로 오게됨.
-북진정책: 고려 서경 중시(나중에 평양) 청천~ 영흥강까지 영토 넓힘
-정계, 계 백료서(정치 법칙, 백료-신하들이 지켜야할 룰), 훈요 10조(유언서,자식 많아서 후세 정하기 힘드니까)
[왕규의 난] - 왕위쟁탈전
[광종 정책] - 무서운 사람. 태조왕건 후반에 약해진 왕권을 엄청나게 강화시킨 사람
왕규의 난처럼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왕이 되었음. 그래서 7년동안 아~무것도 안함.
-노비 안검법: 억울하게 노비가 된 원래 양민인 노비를 양민으로 돌리는 법
목적: 왕권강화, 재정안정-> 노비는 세금안냄. 양민부터 세금 냄.
-과거제 시행: 광종이 칼 끝을 호족/귀족들에게 향하게 하는 것임.
*신라 하대 원성왕때 독서삼품과 시행못함 -> 고려 광종때 과거제 시행.
그래서 귀족들이 광종 제거작전을 시행하려고 함. 광종은 이 공격을 기다린것임.(고려 건국한 공신들을 명분없이 없앨수는 없으니까)
*노비는 귀족들의 군사력이 될수도 있음. 그래서 과거제 시행 전에 노비안검법을 먼저 시행한 것임. 똑똑함
-관리들 공복 제정
-칭제건원 '나 황제야. 연호를 사용' (광덕, 준풍) ->광종의 엄청난 권력 집중
[경종 정책]
-시정전시과(처음으로 정한, 등급에 따라, 토지와 임야를 주는 토지제도 -역분전 시대는 끝남)
[성종 정책] - 틀이 잡힘
-최승로의 시무28조 받아들임
*최승로: 6두품 집안, 유학을 중시한 사람
->중앙제도: 2성6부 시스템
지방제도: 지방 12목에 지방관 파견(지방 호족들 장악->왕권 강화)
* 최초로 지방관을 파견한 사실임.
->연등회(석가탄신일 등) 줄임. (유학자 입장에서 불교 행사가 너무 큼) 팔관회 금지
-> 최승로는 광종 되게 싫어함.
문벌귀족사회의 토대 마련
행정조직
-중앙행정조직
2성6부 시스템
/*당나라 영향*/
->중서문하성: 재신 - 2품이상(고위관료), 정책 심의
낭사 - 3품이하, 언론 역할
->상서성: 이/병/호/형/예/공 6부 - 실질 정책 실행 기구
이부: 행정부, 병부: 국방부, 호부: 돈,재정경제부,
형부: 법과 관련 검찰, 예부:교육부,외교부 공부: 건설교통부
*고려시대는 엄청난 왜침이 있어서 국방부(병부)가 중요했음
/*송나라 영향*/
->중추원: 추밀 - 2품이상, 군국 기무(국가 기밀) 담당
승선 - 3품, 승->비서 기능
->어사대: 감찰기구(암행어사)
->삼사: 고려시대 삼사는 회계만 담당. 언론기능 담당 아님
(조선시대 삼사는 언론기능 담당함)
/*고려만의 독자적 기구*/
재추회의: 재신+추밀 회의(2품이상들 회의). 문관중심 회의(고려는 문벌나라야)
도 병마사: 병마사(국방 요직에 파견된 지방관)를 지도하는 기구
나중에 도편 의사사(=도당)
병마사는 원래 임시기구였지만 상설기구가 됨(나중에 조선시대 비변사와 유사한 기구)
식목도감: 여러 식(결혼식 등)들을 차례에 의해 움직이게 하는 기구
*중방회의: 무관 중심 회의. 무신정변 이후 중방중심으로 권력이동
대간(=대성): 낭사+어사대. 언론기능 담당. 고려 삼사와 반드시 비교할 것! 삼사는 언론기능 없음
서경(서명), 간쟁(폐하 이러시면 안됩니다), 봉박(편지 다시봉해서 돌려보내는 것)
-지방행정조직
12목 파견 -> 5도 양계로 나뉨 이원화 되어있음
*5도: 행정 기능, 양계: 군사 기능
북계; 천리장성- 거란, 여진이 쳐들어올 때 막아주는 역할을 함. 그 부근에 북계를 설치.
동계: 왜구 침입 막기 위해 설치
*고려시대는 지방관이 일부지역에만 파견함. 조선시대 가서야 전국에 파견함
5도: 4도호부 8목으로 나누고(4+8=12), 8목을 다시 주/군/현으로 나눔
안찰사: 중앙에서 5도에 파견된 관리들. 상설기구는 아님
(조선시대 관찰사는 머무르는 곳이 있는반면, 안찰사는 떠돌아다님. 그래서 상설기구)
지방 수령(사또): 중앙에서 4도호부 8목 주군현 파견된 관리
향리: 주군현에 속해있는 '속군, 속현, 향/부곡/소' 를 다스림. 해당 지역의 실질적인 지배세력.
*향리는 중앙에서 파견하지 않음!
*조선시대 향리는 후짐. 고려시대 향리는 실질적 지배세력임. 이들중 나중에 신흥무인세력, 신진사대부, 조선건국의 씨앗집단임
병마사: 중앙에서 북계, 양계 파견된 관리들
[군사체제]
중앙군: 2군 6위
-군적있음(군인 list) ->직업군인 ->군인전 지급받음(일한 댓가로 토지받음)
지방군:
-주진군: 5도 다스리는 사람. 군적 없음. 상비군 현태임
-주현군: 양계지역에 주둔하는 사람. 군적 없음. 예비군 형태임
'공부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태성 한국사 고급] 12강 고려 외교 (0) | 2020.02.13 |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1강 고려 중기정치~무신정변 (0) | 2020.02.13 |
[최태성 한국사 고급] 9강 고대 문화2 (0) | 2020.02.12 |
[최태성 한국사 고급] 8강 고대 문화 (0) | 2020.02.12 |
[최태성 한국사 고급] 7강 고대 경제, 사회 (0) | 2020.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