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성 한국사 고급] 11강 고려 중기정치~무신정변

2020. 2. 13. 09:11공부/한국사

[최태성 한국사 고급] 11 고려 중기정치~무신정변

 

고려 초기: 호족들이 이끌던 시기

고려 중기: ~무신정변 이전 

고려 후기: 무신정변 이후

 

호족의 변화 모습

[고려 초기]------------------------------->[고려 중기]

호족 -------------------------------------> 문벌귀족화

선종(누구나 부처가 있다) --------> 교종((의총)

고구려 계승의식 강함-------------------->신라 계승의식

(중국과 부딪침)                                       (김유식 삼국사기)

------------------------------------------문벌+교종+신라= 특권

특권 *(->조상의 은덕을 의미)

1) 정치적 특권: 음서제도(5품이상 집안자제들은 관직에 나갈수있음) + 과거제(광종때

2) 경제적 특권: 공음전(태어났을 때부터 먹고사는게 해결됨)             + 전시과(일한댓가로, 등급에 따라 토지와 임야-전지,시지- 받음)

3) 사회적 특권: 폐쇄적 통혼권(자기들끼리 결혼함. 근친혼도 왕실에서는 이루어짐

*귀족적 특장: 음서제도, 공음전

*관료적 특징: 과거제, 전시과

**고려시대는 귀족적특징인 음서제도, 공음전이 강하지만, 조선시대에는 관료적 특징인 과거제, 전시과가 강해짐

 

 

 

문벌귀족사회의 권력집중되는 모습이 나타나면서(문벌+교종+신라= 특권) 모순들이 발생함

모순들(순서대로)

1. 이자겸의 (인종때 벌어진 ) + 척준경(사람이름)

     *이자겸=인종의 외할아버지 & 인종의 장인어른. 인종이 이모랑 결혼한거야...

 

2.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서경파

개경파

묘청, 정지상

김부식

불교, 풍수지리 중요시 여김

유학

고구려 계승 의식(자주적)

신라 계승 의식(사대적)

금나라 정벌하자!

금과 사대를 해야해.

 

 

결과: 서경파가

단재 신채호 <조선사연구초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이야말로, 조선역사 1천년내 제일 사건이다. "

**조선이 망하게 것이 서경천도운동실패의 시작이기도 하다.

**서경파가 지면서, 사대주의적 사상인 개경파가 권력을 잡게 되었고, 이게 조선까지 이어지면서 나약한 모습을 띄게 된다.

 

3. 김돈중(문관) -> 정중부(사람이름임)

정중부의 멋있는 수염을, 김돈중이 촛불로 불태움 ->김돈중: 김부식 아들임문신들이 무신을 엄청 무시했던거지.

한뢰(문신) -> 이소응(무신)

칼싸움인데 이소응이 졌음. 근데 한뢰가 졌다고 뺨을 때림. 이건 나라가 개판이네.

 

-> 이러한 모순된 상황들이 1170 무신정변의 배경이 된것임.

 

 

 

1170 무신정변(~100년밖에 못감. 시대에 대한 비전이 없음)

------ 이의방 -> 정중부 ----------> 경대승 -> 이의민 ----> 최충헌 -----------------------> 최우(최충헌 아들)

[정치]

중방(무신들 회의기구)-------------------------------------->교정도감(임시회의기구)------+정방(인사권), 서방(문신등용기구)

*서방에서 향리 자제들이 많이 들어왔고, 공민왕때 이들이 발탁이 . 그들이 신진사대부-> 조선 건국한 사람들

[군사]

도방(군대조직)-------------------------------->도방사용x--->도방부활-------------------+야별초->삼별초

 

*이의민: 당시 왕이었던 의종의 허리를 꺾어서 죽임.

[사회 동요]

(이의방~정종부)

문벌들이 들고 일어남.

김보당(본거지-개경), 조의총(근거지-서경): 문벌 귀족 출신이 일으킨

망이/망소이난(공주 명학소에서 발생): 양민들

**특수행정부(향리가 다스리는 - 향리,,,)

*,: 농민들이 집단으로 모여서 일하는

*: 수공업자들이 집단으로 모여서 일하는

 

*공주(웅진)에서 일어난 사건들을 역사적 순서대로 정리해놓기

 

(경대승~이의민)

김사미, 효심의 : 양민들

*고려시대 백정(일반백성들도 고려시대에는 백정이라고 불렀음. 조선시대 백정과 다름)

 

(최충헌)

만적의 (개경에서 발생): 신분해방 운동. 만적은 노비 

'왕후장상의 씨가 따로 있으랴

 

(최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