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2. 13. 09:12ㆍ공부/한국사
[최태성 한국사 고급] 12강 고려 외교
--------------------------------------------------------------------------고려 무신정변---------------------------------------------------
--------10c-11c--------------------------12c----------------------------------13c-----------------------------------------------------14c
----거란 요나라------------------여진족 금나라 ----------------------------몽골--------------------------------원 간섭기 ---------홍건적,왜구
--------------------------------------------------------------------(초조 대장경, 황룡사 9층목탑 불타버림)---------------------(공민왕 안동까지피신)
[저항의 역사]
(10c-11c 거란 요나라 침입 시기, 호족시기)
1) 1차침입: 서희 - 싸우지도 않고 강동6주 획득 & 지도도 같이 볼것
*당시 거란은 송나라 치려고 했음. 고려는 칠 생각 없었음. 이걸 서희가 알았음. 그래서 사대 맺자. 대신 땅 일부좀 줄래?
2) 2차침입: 양규. 강조의 변(강조가 목종을 폐위시킴)
*당시 왕 목종임. 목종이 강조를 불러서 목종한테 가는도중, 목종 폐위했다는 거짓을 듣다가 강조가 빡쳐서 목종 죽임
3) 3차침입: 강감찬 귀주대첩(귀주: 강동6주 중 하나)
*살수대첩: 고구려 을지문덕(vs 수나라)
3차 침입때:
-초조 대장경(거란의 침입을 부처님 힘을통해 막아보자 라는 대장경, 몽골침입때 불타게 됨. ->팔만대장경 만듦)
-개경(=나성) 축조
-천리장성 축조 (거란침입 + 여진까지 막아냄)
*천리장성 2번 나옴: 고구려(요동 쪽), 고려(한반도 안쪽)
->이렇게 외교를 통해서 거란의 침입을 물리침
**정확한순서
1차 거란침입/서희 강동6주확보 -> 강조의 변 (개정전시과 만든 목종 죽음)
-> 2차 거란침입 -> 현종이 개경버리고 나주로 피난감 & 초조대장경 만듬
->3차 거란 침입 -> 강감찬 귀주대첩 & 개경 나성 축조
->천리장성 축조
(12c 여진족 금나라 침입시기, 문벌귀족 시기)
1) 윤관: 별무반 조직 ->신기군(기병), 신보군(보병), 항마군(승려들) 으로 구성.
별무반을 통해 동북 9성 확보함
* 척경입비도: 윤관의 여진 정벌 직후 국경비를 세움(17c)
2)이자겸, 김부식 등장(문벌귀족 사회 대표적 인물): 금과의 사대 승인
->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발생하지만 실패.
*******************고려의 구분 시점***************************************************************
(13c 몽골 침입시기. 무신정변 시기)
최우: 강화도 천도
김윤후: 승려로써 용인 처인성전투, 장수로써 충주(with 노비)에서 활동
*노비문서 불태우면서, 전투에서 공을 세우면 양민을 시켜주겠다!
배중손: 삼별초의 항쟁(좌/우 야별초 + 신의군 으로 구성)
당시 삼별초 정부가 고려왕실과 비등할만큼 세력이 강했음
삼별초 항쟁 이동경로: 강화도 -> 진도(용장성)-> 제주도(항파두리성)
*진도: 이순신장군 울둘목, 고려시대 삼별초 항쟁
당시 문화유산: 팔만대장경
그리고 난 후 개경으로 환도
(초조 대장경, 황룡사 9층목탑 불타버림
(14c 원 간섭기, 권문세족 시기)
*원에 빌붙어 성장한 세력: 권문세족
많은 것을 잃은 시기
1) 영토 축소(영토를 많이 잃어버림)
-쌍성총감부 잃음 철령이북(북한 화주 지역)
-동녕부(서경)
-제주도 탐라총관부
2) 관제개편(기존 고려 행정조직 - 2성6부체제)
-2성 -> 첨의부, -6부 -> 4사, -중추원 ->밀직사
+부마국(사위의 나라, 왕 이름에 '충'이 붙음)
**굴욕적일수도 있지만, 그 큰 원나라의 사위이므로 큰 회의에 참여하기도 했음. 고려깃발을 무너뜨린건 아니니까 긍적적 측면도 있음
3)내정간섭: 다루가치, 정동행성 이문소(동쪽-일본을 정벌하기 위해 만든 기구)
*정동행성 이문소->일본 왈 카미카제(신풍. 신이 불어준 바람)
4) 권문세족 성장
-정치적 성장: 도평의사사(=도당), 음서(문벌귀족이 쓴 제도), 정방(무신정권 최후가 인사권 장악하기 위해 만든 기구)
-경제적 성장: 대농장. 어마어마한 토지를 확보함
5) 사회적
-공녀(조혼 증가)
*공녀: 고려의 여성을 몽골로 갖다 바치는 것(ex-기황후. 아주 특별한 케이스..). 당시 몽골은 고려 여성을 굉장히 좋아했음..
그래서 보내기 싫어서, 조혼이 증가함.
-몽골 풍 그리고 고려양(고려 스타일)
[원 간섭기에 맞선 공민왕 개혁] - 이 세가지를 같은날 동시에 함
쌍성총관부: 무력으로 수복?
정동행성 이문소 폐지
권문세족 폐지. 기철을 숙청함
노국공주가 죽었지만, 공민왕은 계속 개혁을 시도함..
이후, 대농장 격파 -> 신돈을 통해 전민변정도감 실시(토지와 백성을 원위치로 돌리는 제도)
*광종 때 노비안검법처럼. 왕권 강화, 재정확보라는 공통적 목표가 있음. 차이점도 잘 알아둬야함!
몽골풍 일소시킴
공민왕때 성장한 사람들: 신진사대부들
(14c 홍건적/왜구 난)
1)신흥 무인 세력 등장: 최영, 이성계
*최영: 87번 전투에서 1회도 실패하지 않음. 와..이순신보다 더 함. 최영 '황금보기를 돌같이 하라'
2)당시 명나라가 철령위 설치함.
3)그래서 집권세력인 우왕과 최영이 주도하여 요동정벌 단행
*최영은 못가고 이성계만 감. 근데 이성계가 명령 불복종함
4)위화도회군: 이성계가 위화도에서 회군을 함. 4불가론을 주장했음
4불가론
1) 여름에 군사를 동원할 수 없다
2) 작은나라가 큰 나라를 거역할 수 없다 ->이미 이성계와 신진사대부의 교류가 있었을 것.
3) 온나라 군사를 동원하여 멀리 정벌을 떠나게 하면 왜적이 틈을 노리고 쳐들어 올것이다
4) 장마철이다. 활 아교 풀어질 것이다.
위화도 회군 후 최영이 죽임을 당함.
당시 최영은 거의 영웅이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슬퍼함
5) 과전법 시행
6)1392년 조선 건국 (정치, 경제 다 장악했으므로)
'공부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태성 한국사 고급] 14강 - 고려 문화1 (0) | 2020.02.13 |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3강 - 고려 경제, 사회 (0) | 2020.02.13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1강 고려 중기정치~무신정변 (0) | 2020.02.13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0강 중세 고려 초기 (0) | 2020.02.13 |
[최태성 한국사 고급] 9강 고대 문화2 (0) | 2020.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