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성 한국사 고급] 12강 고려 외교

2020. 2. 13. 09:12공부/한국사

[최태성 한국사 고급] 12 고려 외교

 

--------------------------------------------------------------------------고려 무신정변---------------------------------------------------

--------10c-11c--------------------------12c----------------------------------13c-----------------------------------------------------14c

----거란 요나라------------------여진족 금나라 ----------------------------몽골-------------------------------- 간섭기 ---------홍건적,왜구

--------------------------------------------------------------------(초조 대장경, 황룡사 9층목탑 불타버림)---------------------(공민왕 안동까지피신)

 

[저항의 역사]

(10c-11c 거란 요나라 침입 시기, 호족시기)

1) 1차침입: 서희 - 싸우지도 않고 강동6 획득 & 지도도 같이 볼것

*당시 거란은 송나라 치려고 했음. 고려는 생각 없었음. 이걸 서희가 알았음. 그래서 사대 맺자. 대신 일부좀 줄래

2) 2차침입: 양규. 강조의 (강조가 목종을 폐위시킴)

*당시 목종임. 목종이 강조를 불러서 목종한테 가는도중, 목종 폐위했다는 거짓을 듣다가 강조가 빡쳐서 목종 죽임

3) 3차침입: 강감찬 귀주대첩(귀주: 강동6 하나)

*살수대첩: 고구려 을지문덕(vs 수나라)

3 침입때:

-초조 대장경(거란의 침입을 부처님 힘을통해 막아보자 라는 대장경, 몽골침입때 불타게 . ->팔만대장경 만듦)

-개경(=나성) 축조

-천리장성 축조  (거란침입 + 여진까지 막아냄)

*천리장성 2 나옴: 고구려(요동 ), 고려(한반도 안쪽)                

->이렇게 외교를 통해서 거란의 침입을 물리침

 

**정확한순서

1 거란침입/서희 강동6주확보 -> 강조의 (개정전시과 만든 목종 죽음)

-> 2 거란침입 -> 현종이 개경버리고 나주로 피난감 & 초조대장경 만듬

->3 거란 침입 -> 강감찬 귀주대첩 & 개경 나성 축조 

->천리장성 축조

 

(12c 여진족 금나라 침입시기, 문벌귀족 시기)

1) 윤관: 별무반 조직 ->신기군(기병), 신보군(보병), 항마군(승려들) 으로 구성

         별무반을 통해 동북 9 확보함

* 척경입비도: 윤관의 여진 정벌 직후 국경비를 세움(17c)

 

2)이자겸, 김부식 등장(문벌귀족 사회 대표적 인물): 금과의 사대 승인

->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발생하지만 실패.

 

*******************고려의 구분 시점***************************************************************

(13c 몽골 침입시기. 무신정변 시기)

최우: 강화도 천도 

김윤후: 승려로써 용인 처인성전투, 장수로써 충주(with 노비)에서 활동

*노비문서 불태우면서, 전투에서 공을 세우면 양민을 시켜주겠다!

배중손: 삼별초의 항쟁(/ 야별초 + 신의군 으로 구성)

             당시 삼별초 정부가 고려왕실과 비등할만큼 세력이 강했음

             삼별초 항쟁 이동경로: 강화도 -> 진도(용장성)-> 제주도(항파두리성)

             *진도: 이순신장군 울둘목, 고려시대 삼별초 항쟁

 

당시 문화유산팔만대장경

그리고 개경으로 환도

(초조 대장경, 황룡사 9층목탑 불타버림

 

(14c 간섭기, 권문세족 시기)

*원에 빌붙어 성장한 세력: 권문세족

많은 것을 잃은 시기

1) 영토 축소(영토를 많이 잃어버림)

-쌍성총감부 잃음 철령이북(북한 화주 지역)

-동녕부(서경)

-제주도 탐라총관부

 

2) 관제개편(기존 고려 행정조직 - 26부체제

-2 -> 첨의부,  -6 -> 4,  -중추원 ->밀직사

+부마국(사위의 나라, 이름에 '' 붙음)

**굴욕적일수도 있지만, 원나라의 사위이므로 회의에 참여하기도 했음. 고려깃발을 무너뜨린건 아니니까 긍적적 측면도 있음

 

3)내정간섭: 다루가치, 정동행성 이문소(동쪽-일본을 정벌하기 위해 만든 기구)

*정동행성 이문소->일본 카미카제(신풍. 신이 불어준 바람)

 

4) 권문세족 성장

-정치적 성장: 도평의사사(=도당), 음서(문벌귀족이 제도), 정방(무신정권 최후가 인사권 장악하기 위해 만든 기구)

-경제적 성장: 대농장. 어마어마한 토지를 확보함

 

5) 사회적 

-공녀(조혼 증가)

*공녀: 고려의 여성을 몽골로 갖다 바치는 (ex-기황후. 아주 특별한 케이스..). 당시 몽골은 고려 여성을 굉장히 좋아했음..  

             그래서 보내기 싫어서, 조혼이 증가함

-몽골 그리고 고려양(고려 스타일)

 

[ 간섭기에 맞선 공민왕 개혁] - 세가지를 같은날 동시에  

쌍성총관부: 무력으로 수복

정동행성 이문소 폐지

권문세족 폐지. 기철을 숙청함

 

노국공주가 죽었지만, 공민왕은 계속 개혁을 시도함..

이후, 대농장 격파 -> 신돈 통해 전민변정도감 실시(토지와 백성을 원위치로 돌리는 제도)

*광종 노비안검법처럼. 왕권 강화, 재정확보라는 공통적 목표가 있음. 차이점도 알아둬야함!

몽골풍 일소시킴

공민왕때 성장한 사람들: 신진사대부들

 

 

(14c 홍건적/왜구 )

1)신흥 무인 세력 등장: 최영, 이성계

*최영: 87 전투에서 1회도 실패하지 않음. ..이순신보다 최영 '황금보기를 돌같이 하라

2)당시 명나라가 철령위 설치함

3)그래서 집권세력인 우왕과 최영이 주도하여 요동정벌 단행

*최영은 못가고 이성계만 . 근데 이성계가 명령 불복종함

4)위화도회군: 이성계가 위화도에서 회군을 . 4불가론을 주장했음

4불가론

1) 여름에 군사를 동원할 없다

2) 작은나라가 나라를 거역할 없다 ->이미 이성계와 신진사대부의 교류가 있었을 .

3) 온나라 군사를 동원하여 멀리 정벌을 떠나게 하면 왜적이 틈을 노리고 쳐들어 올것이다

4) 장마철이다. 아교 풀어질 것이다

위화도 회군 최영이 죽임을 당함.

당시 최영은 거의 영웅이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슬퍼함

5) 과전법 시행

6)1392 조선 건국 (정치, 경제 장악했으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