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성 한국사 고급] 14강 - 고려 문화1

2020. 2. 13. 09:14공부/한국사

[최태성 한국사 고급] 14 - 고려 문화

*시험에 정치, 문화 많이 나옴

사진 주어지고 어느시대인지 파악하는 .

 

[유학] - 조선시대와 비교할 . 주로 훈고학 중심. 성리학은 나중에

*훈고학: 문장 해석이 맞는건지

*성리학: 철학적인 질문과 . 정통과 명분을 따지는 학문

 

1. 호족 세력

성종 학제 정비(성종은 유교 중시, 최승로 시무28 받아들인 )

-중앙: 국자감(고려 중앙에 있는 대학교)

->유학부, 기술학부

->유학부 과거시험(광종때 실시): 명경과(=경전 공부), 제술과(=논술)

->기술학부 과거시험: 잡과(산수, 회계..)

-> +승과: 승려 시험 + 무과: 있었지만, 거의 시행되지 않음(워낙 전쟁이 많아서 전쟁에서 공을 세운사람들에게 직을 줬기떄문에 무과가 필요없었음)

**조선시대: 무과는 있고 승과는 없음.

**조선시대 성균관에서는 기술학부가 없음. 유학부만 있음.

-지방: 향교(~조선시대)

**통일신라:국학, 발해: 주자감, 고려:국자감

 

2. 문벌귀족 세력

과거시험에 이어서 사학12 발달(국가 교육기관보다 사립학교로 많이 )

-최충이 9재학당 학교 설립

(사교육인 사학12 견제하기 위해)관학진흥책: 양현고(기를 , 어질 , 곳간 , 장학금). 전문7(좋은강의 배치)

 

3. 무신 세력(1170 무신정변)

유학 위축

 

4. 권문세족 -> 이후 신진사대부

안향이라는 사람이 성리학 소개(from 원나라)

*성리학이 자리잡게 것은 원래는 송나라임. 당시는 송나라 없음. 원나라꺼 소개만 한것임.

-성리학 공부한 사람: '만권당' (이제현-이색-정몽주-정도전) -> 이들이 추후 신진사대부. 조선시대 건국

 

 

[역사]

1. 호족 세력

역사서: 실록, 구삼국사 썼으나 현존하지 않음 ㅠㅠ

 

2. 문벌귀족 세력

역사서: 삼국사기: 김부식 작성

-현존하는 최고 오래된 역사서 

-기전체(+세가+...) 작성

->본기: , 세가: 제우? 열전: 신하, : 제도 들을 작성. 하나의 역사를 각각의 항목에 들어가도록 작성

 

*호족: 고구려 정신(진취적), 문벌귀족: 신라 정신.. 

 

3. 무신 세력(1170 무신정변)

역사서: 해동고승전(각훈 작성), 동명왕편(이규보 작성)

*해동고승전: 동쪽의 유명한 승녀들을 서술

*동명왕-고주몽, 고구려 역사 서술(몽골이 겁나 쳐들어오니까, 우리 선조인 고구려가 이렇게 강했다. 보여주려고 작성)

*이규보: 천재임

 

4. 권문세족 -> 이후 신진사대부

역사서: 삼국유사(일연 작성), 제왕운기(이승휴 작성)

*삼국유사, 제왕운기 공통점: 고조선 '단군 조선' 역사를 담음. 원이 쳐들어오니까 우리를 하나로 묶어줄 있는 고조선 역사 작성

 

 

[불교]

1. 호족 세력

태조왕건: 훈요10조에서 유언까지 남김 '연등회, 팔관회 잘해라'

성종: 최승로 시무28 건의로 연등회 축소, 팔관회 금지 ->유학 장려 시기라서..

*팔관회: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행사.. 어떻게 보면 도교와도 연관..

 

2. 문벌귀족 세력

대각국사 의천 승려

-천태종 종파 관련

-의선: /선통합(교종+선종) 추구. 그렇지만 교종이 앞에 써있는것-> 교종 가운데 선종 추구 -> 교관겸수(교종+직관-선종을 겸해서 수행해야 한다)

-교장(해설서)

 

3. 무신 세력(1170 무신정변)

보조국사 지눌

-조계종 종파,

-수선사 결사(결사운동. 당시 불교가 약해져서 하나로 모였어야 했음

-/ 통합: 정혜쌍수,돈오점수( ->선종, 지혜-교리->교종 함께 수행해야한다) ->선종 중심의 교종 통합

*돈오점수: 문득 깨달음

*안국 조계사 - 갑신정변 현장이었던 우정총국 가보기..

지눌 제자 혜심 승려: 유불일치설(유학,불교가 비슷하다~)

->이런게 있었기 때문에 고려후기에 성리학이 발달할 있었던 토대가 마련되기도 했음

 

4. 권문세족 -> 이후 신진사대부

-x

 

 

[풍수지리] - 선종과 함께 호족들의 지지

1. 호족 세력

서경길지설(=서경중시) -> 북진정책(태조왕건) , 3(개경, 서경, 동경-경주 ->나중에 남경) 중요성 부각

 

2. 문벌귀족 세력

묘청 서경 천도 운동(위의 연장선상), 남경길지설(나중에 조선 도읍지 한양까지 연결됨)

 

3. 무신 세력(1170 무신정변)

x

4. 권문세족 -> 이후 신진사대부

한양(조선) 도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