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성 한국사 고급] 15강 - 고려 문화2

2020. 2. 13. 09:15공부/한국사

[최태성 한국사 고급] 15 - 고려 문화2

 

<과학>

[천문학] -왕권강화, 농업 중시

달력: 선명력(당나라 달력) ->수시력(원나라꺼, 시간/

첨성대-개성 첨성대. *삼국시대 선덕여왕 첨성대와 다름

 

[의학]

향약구급방(우리나라에서 구할 있는 약초로 만든 처방전) - 현존하는 최고 오래된 의학서 ->나중에 조선 세종떄 향약집서도 나옴

 

[인쇄] - 고려시대 인쇄는 자랑거리임

목판: 초조대장경(거란 침입을 물리치기 위해 만듬)-> 승려 의천의 교장 ->재조대장경(=팔만대장경, 몽골 쳐들어왔을 부처님의 힘을 빌려 이겨낼라고 만든 )

*몽골이 쳐들어왔을 초조대장경이 불탔음 ㅜㅜ 그래서 팔만대장경 제작(다시 , 여서 재조 대장경)

목판인쇄술 /단점: 대량인쇄 가능 but 다양한 책은 못찍어냄 - 다양성 떨어짐

 

활판(금속활자): 상점고금예문(현존하지는 않음 ㅠㅠ), 직지심체요절(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활판 인쇄물)

*직지심체요절: 청주-(통일신라 9 5소경 )서원경에 속함. 지금 프랑스에 가있음

*병인양요때 외규장각 약탈되었을 , 뻇긴건 아님

활판인쇄술 장점: 소량 인쇄 가능->다양성 있음

 

[무기]

고려말 최무선: 화통도감(도감-임시기구) -> 진포해전에서 처음 사용(진포- 금강)

 

 

<예술> - 사진으로 구분해낼것

[불상]

(고려 전기)

고려 초기

-철불유행(무기 없애서 만듬) -> 하남 하사창동 철불(사진 볼것)

-거대 불상 유행 ->관촉사 석조미륵 보살입상(사진봐야함 엄청큼, 얼굴도 )

*고려 세운 지방 호족들이 자기 지방의 개성을 담아내려고 저렇게 큰것 만든것임..그들을 닮은 불상.. 

**통일신라 대표불상: 경주 석굴암 본존불(위압, 완벽

 

*고려 불상은 개성적인 모양임

 

고려 중기(문벌귀족세력)

-부석사 소조 아미타여래 좌상(부석사에있는 흙으로 빚은, 아미타, 여래-부처님 앉아있음)

->사진봐야함. 부석사 있음(원효 베푸 의상 스님)신라 영향 받은 모습임. 석굴암 본존불과 비슷해보임 엄숙해보임

 

(고려 후기)

x

                                                                  

[건축]

(전기)

주심포: 공포가 기둥 위에만 있는것 

다포: 공포가 기둥, 기둥사이사이에 있는

배흘림: 기둥 중간이 볼록한것, (<->민흘림기둥. 갈수록 두꺼운것)

 

-주심포 양식 유행 -기둥을 올리면 기둥 위에 포가 한개씩 올라가있는 -> 고려후기에도 보임

(후기)

-주심포 양식---->봉정사 극락전, 수덕사 대웅전, 부석사 무량수전(부석사 안에 부석사소조아미타불상있음)

*부석사 무량수전: 배흘림 기둥

-다포양식 유행: 성불사 응진전

*다포양식: 기둥과 기둥사이에 포가 많은것

 

봉정사 극락전: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두번째로 오래된 목조건물

 

[]

(전기)

평창 월정사 89층석탑 (고려 전기 , 다각 다층석탑 모양임-송나라 영향), 고달사지승탑(스님 사리)

*산채비빔밥 유명한곳 많음. 가볼것

(후기)

개성 경천사 10 석탑(원나라 영향, 대리석으로 만듬)

*국립중앙박물관 실내에 있음

*모양으로 구분 할것! 이건 원의 영향이네!

                        

    

[자기]

(전기)

11세기 순청자 유행(아무 무늬 없음)

*용인 호암미술관에 자기들이 많이 있음. 가볼것

(전기+후기)

12세기 상감청자(흙에다 조각을 파내고, 문양 독특)

(후기)

분청사기(조선시대에 굉장히 유행함)

                         

 

[공예]

(전기)

은입사(상감청자처럼, 은을 집어넣음), 나전칠기((조개껍질을 붙인것)

 

*고려는 불교색채 강하고, 화려함 조선이 수더분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