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2. 13. 09:15ㆍ공부/한국사
[최태성 한국사 고급] 15강 - 고려 문화2
<과학>
[천문학] -왕권강화, 농업 중시
달력: 선명력(당나라 달력) ->수시력(원나라꺼, 시간/떄)
첨성대-개성 첨성대. *삼국시대 선덕여왕 첨성대와 다름
[의학]
향약구급방(우리나라에서 구할 수 있는 약초로 만든 처방전) - 현존하는 최고 오래된 의학서 ->나중에 조선 세종떄 향약집서도 나옴
[인쇄] - 고려시대 인쇄는 자랑거리임
목판: 초조대장경(거란 침입을 물리치기 위해 만듬)-> 승려 의천의 교장 ->재조대장경(=팔만대장경, 몽골 쳐들어왔을 떄 부처님의 힘을 빌려 이겨낼라고 만든 것)
*몽골이 쳐들어왔을 떄 초조대장경이 불탔음 ㅜㅜ 그래서 팔만대장경 제작(다시 재, 여서 재조 대장경)
목판인쇄술 장/단점: 대량인쇄 가능 but 다양한 책은 못찍어냄 - 다양성 떨어짐
활판(금속활자): 상점고금예문(현존하지는 않음 ㅠㅠ), 직지심체요절(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활판 인쇄물)
*직지심체요절: 청주-(통일신라 9주 5소경 중)서원경에 속함. 지금 프랑스에 가있음
*병인양요때 외규장각 약탈되었을 때, 뻇긴건 아님.
활판인쇄술 장점: 소량 인쇄 가능->다양성 있음
[무기]
고려말 최무선: 화통도감(도감-임시기구) -> 진포해전에서 처음 사용(진포-현 금강)
<예술> - 사진으로 구분해낼것
[불상]
(고려 전기)
고려 초기
-철불유행(무기 없애서 만듬) -> 하남 하사창동 철불(사진 볼것)
-거대 불상 유행 ->관촉사 석조미륵 보살입상(사진봐야함 엄청큼, 얼굴도 큼)
*고려 세운 지방 호족들이 자기 지방의 개성을 담아내려고 저렇게 큰것 만든것임..그들을 닮은 불상..
**통일신라 대표불상: 경주 석굴암 본존불(위압, 완벽)
*고려 불상은 개성적인 모양임
고려 중기(문벌귀족세력)
-부석사 소조 아미타여래 좌상(부석사에있는 흙으로 빚은, 아미타, 여래-부처님 앉아있음)
->사진봐야함. 부석사에 있음(원효 베푸 의상 스님)신라 영향 받은 모습임. 석굴암 본존불과 비슷해보임 엄숙해보임
(고려 후기)
x
[건축]
(전기)
주심포: 공포가 기둥 위에만 있는것
다포: 공포가 기둥, 기둥사이사이에 있는 것
배흘림: 기둥 중간이 볼록한것, (<->민흘림기둥. 갈수록 두꺼운것)
-주심포 양식 유행 -기둥을 올리면 그 기둥 위에 포가 한개씩 올라가있는 것 -> 고려후기에도 보임
(후기)
-주심포 양식---->봉정사 극락전, 수덕사 대웅전, 부석사 무량수전(부석사 안에 부석사소조아미타불상있음)
*부석사 무량수전: 배흘림 기둥
-다포양식 유행: 성불사 응진전
*다포양식: 기둥과 기둥사이에 포가 많은것
봉정사 극락전: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두번째로 오래된 목조건물
[탑]
(전기)
평창 월정사 8각9층석탑 (고려 전기 탑, 다각 다층석탑 모양임-송나라 영향), 고달사지승탑(스님 사리)
*산채비빔밥 유명한곳 많음. 가볼것
(후기)
개성 경천사 10층 석탑(원나라 영향, 대리석으로 만듬)
*국립중앙박물관 실내에 있음
*모양으로 구분 꼭 할것! 이건 원의 영향이네!
[자기]
(전기)
11세기 순청자 유행(아무 무늬 없음)
*용인 호암미술관에 자기들이 많이 있음. 가볼것
(전기+후기)
12세기 상감청자(흙에다 조각을 파내고, 문양 독특)
(후기)
분청사기(조선시대에 굉장히 유행함)
[공예]
(전기)
은입사(상감청자처럼, 은을 집어넣음), 나전칠기((조개껍질을 붙인것)
*고려는 불교색채 강하고, 화려함 조선이 수더분하지
'공부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태성 한국사 고급] 17강 - 조선 전기 조직 (0) | 2020.02.14 |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6강 - 조선 전기 정치(15세기~16세기) (0) | 2020.02.14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4강 - 고려 문화1 (0) | 2020.02.13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3강 - 고려 경제, 사회 (0) | 2020.02.13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2강 고려 외교 (0) | 2020.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