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성 한국사 고급] 16강 - 조선 전기 정치(15세기~16세기)

2020. 2. 14. 09:16공부/한국사

[최태성 한국사 고급] 16 - 조선 전기 정치(15세기~16세기)

 

1592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조선전기, 조선후기 구분

 

1392 ~200년후에 선조 임진왜란 발발

100년을 전후로 조선전기, 조선후기로 구분

 

15세기: 조선 건국 세력

16세기: 조선 건국에 참여하지 않은 세력들

*둘다 신진사대부들임

 

[조선전기

신진사대부(<->권문세족과 부딪친 세력)

급진파(조선 건국에 참여한 세력) 대표인물: 정도전

온건파(조선건국에 참여하지 않은 세력) 대표인물: 정몽주

->대부분의 성리학 유학자들은 정통과 명분을 따지는데, 어떻게 신하가 왕을 뒤집는가. 명분에 맞지 않는다 ->조선건국에 명분이 없음

*그래서 이방언(이성계 아들) 정몽주를 찾아감 -> '하여가'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 '단신가' 이몸이 죽고죽어 일백번 고쳐죽어~

*이런들어떠하리: 명분에 얽매이지 않고 실리 추구하는 정신 -> 15c 이끈, 융통성있고 유연함 ex-세종대왕

*이몸이 죽고죽어 일백번 고쳐죽어: 성리학적 명분 추구 ->16c 이끈, 명분'유교경전' 공부하는 유학이 유행 ex-이황, 이이

이렇게 15세기, 16세기가 구분된다

 

(신진사대부 구분)

----급진파 - 건국 - 중앙집권 추구-----------------------------훈구세력-----------------------------------------------15세기 소멸

-위화도회군 

*최영의 요동정벌에,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함

-과전법(신진사대부의 경제 기반을 만들어준, 경제개혁)

----온건파 - 낙향 - 향촌자치 추구---------------------------------------------------------------------------------------16세기 사림파 등장

*온건파들의 향촌자치를 통해 힘을 키움 ->온건파들이 지방의 여론 장악: 유향소(향촌에 있는 기구), 서원(인재 양성하는 교육기관), 향약(향촌의 약속만 들어서 농민통제

 

[조선 전기 정치 순서]

1, 정도전(태조 이성계) 함께 조선 토대 구축 => 재상의 힘이

*이성계가 나라를 세웠지만, 실질적인 일을 사람은 정도전임

-조선경국전

-경제문감 

-불씨잡변(부처 씨의 잡소리)

 

2. 왕자의 (이성계 뒤를 누가 이을것이냐) 이후 최종승리자 태종 이방언

*태종은 왕권 강화가 목표

*조선건국한 사람들이 자신에게 도움이 되지않는다면 숙청시켜버림(고려시대 광종처럼)

-6조직계제: 왕이 직접 6(고려시대 6부처럼) 명령내리고, 6부도 직접 왕에게 보고함. => 왕권강화

                     왕과 6 사이에 의정부가 있음. ->의정부의 힘은 약함

-사병 혁파(=없애버림), 호패법(주민등록증), 양전사업

*사격 혁파): 광종의 노비안검법과 유사

*호패법: 중앙에서 지방민들 통제

*양전사업: 토지조사사업

 

3. 세종 -안정화된 모습

-의정부서사: (의정부 3정승과 함께 사인을 하겠다, 정국을 꾸려나가겠다) 국왕-의정부-6 체재. ->의정부 세력 세짐

-집현전: 경연-왕과 신하들이 이야기하는 .

-쓰시마 정벌(왜구 혼내줌), 46 개척(여진 방어),

 

*중간에 문종,단종 

 

*(단종 죽이면서 )세조가 왕위 올라감

4. 세조(수양대군, 술좋아했던 )

-6조직계제 시행(왕권강화)

-집현전 없앰, 경연 없앰

-경국대전 시작 (법의 지엄함을 보여줘야해)

*태종과 닮은 세조임

*세조가 이렇게 하게 배경: 계유정난

*세조때 자리를 잡은 세력: 훈구 ( )

 

5. 성종

-경국대전 완성

-공부시설 복원 -> 홍문관(경연, 서연 담당 *서연: 왕세자와 신하가 이야기하는 )

 

6. 힘을키운 온건파들이 훈구들(급진파) 비리를 때리기 시작: 3(사간원, 사헌부, 홍문관

-> 훈구세력이 온건파 때림 '사화'(사림이 화를 입었다, 온건파=사림)

 

4대사화 (무갑기을)

1. 무오사화(연산군당시)

-발생 원인: 김종직의 의제문 때문(중국황제 '의제' 기린다는

*중국 황제 의제가 항우에 의해 죽은것을 애도 -> 세조(수양대군) 단종을 죽이면서 왕위에 오른 모습을 비판.

->김종직의 제자 김일손이 조의제문을 사초(역사서) 담으려고

->훈구들이 사실을 알고, 역모로 몰아세워서 죽여버림

 

2.갑자사화(연산군당시)

-발생원인: 연산군 어머니인 폐비윤씨의 죽음

->중종반정 (연산군을 끌어내린 사건)

 

3.기묘사화(중종 당시)

-발생원인: 조광조의 개혁

*조광조: 조선 3 개혁가 한명, 위훈삭제(거짓 , 훈장 ) 주장, 현량과 주장, 소격서 폐지 주장

*조선 3 개혁가:김옥(조선후기, 대동법), 흥선대원군(조선말기), 그리고 조광조

*위훈삭제: 실제 중종반정에 참여하지 않았는데, 이름이 올라간 사람들이 많았음(훈구 세력들) ->조광조(사대쪽임) 빡쳐서 위훈삭제 주장 

*현령과: 현명하고 선량한 지방의 선비들을 추천하자.

*소격서: 하늘에 제사 지내는 . 조광조는 유학입장이라서 폐지 주장..

 

나뭇잎에 '주초위왕' 새겨짐 -> 조씨가 왕이 된다. ->조광조 

->그래서 중종이 조광조 버림

 

4. 을사사화(명종 당시)

-발생원인: 윤임vs윤원형 이정도만 알아두기

 

15세기 끝자락에서 훈구 세력, 급진파 소멸

 

---------------------------------------------------------------------------------------------------------------------------------------------------------------

16세기 사림파 등장

*사림파:붕당정치(벗끼리 당을 만든것) ->사림 인원수가 많아서 이렇게 한것임

정몽주-길재-김숙자

---------------김종직

---------------정여창, 김공필, 김일손

---------------이언적, 서경덕, 조광조, 김인국

---------------조식, 이황, 이이, 성혼

붕당: 동인당, 서인당으로 나뉨(나뉜 이유: 훈구 척신잔재, 이조전랑)

-동인당: 조식, 서경덕, 이황 중심이되어 만든 , 북인, 서인로 나뉨

->북인: 서경덕+조식

->남인: 이황

-서인당: 이이, 성혼이 중심이되어 만든 , 노론과 소론으로 나뉨

->노론: 이이

->소론: 성훈

 

*훈구 척신 잔재

동인당: 젊은 사람들이 모임, '확실히 끊어야한다'->개혁파

서인당: 노인들 모임. '이정도면 됐어~'

 

*이조전랑: 이호예병형공 6조의 인사권(전랑)

*사람이 너무 많은데 자리는 적어. 그래서 자기가 친한 벗에게 자리를 주고싶은 . 인사권을 쥐고있는게 이조전랑임

**동인당 이끈 인물: 김효원(집이 서울에서 동쪽에 있어서 동인당)

**서인당 이끈 인물: 심의겸(집이 서울에서 서쪽에 있어서 서인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