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2. 14. 09:16ㆍ공부/한국사
[최태성 한국사 고급] 16강 - 조선 전기 정치(15세기~16세기)
1592년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조선전기, 조선후기 구분
1392년 ~200년후에 선조 때 임진왜란 발발
이 중 또 100년을 전후로 조선전기, 조선후기로 구분
15세기: 조선 건국 세력
16세기: 조선 건국에 참여하지 않은 세력들
*둘다 신진사대부들임
[조선전기]
신진사대부(<->권문세족과 부딪친 세력)
급진파(조선 건국에 참여한 세력) 대표인물: 정도전
온건파(조선건국에 참여하지 않은 세력) 대표인물: 정몽주
->대부분의 성리학 유학자들은 정통과 명분을 따지는데, 어떻게 신하가 왕을 뒤집는가. 명분에 맞지 않는다 ->조선건국에 명분이 없음
*그래서 이방언(이성계 아들)이 정몽주를 찾아감 -> '하여가'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 '단신가' 이몸이 죽고죽어 일백번 고쳐죽어~
*이런들어떠하리: 명분에 얽매이지 않고 실리 추구하는 정신 -> 15c를 이끈, 융통성있고 유연함 ex-세종대왕
*이몸이 죽고죽어 일백번 고쳐죽어: 성리학적 명분 추구 ->16c를 이끈, 명분'유교경전'을 공부하는 유학이 유행 ex-이황, 이이
이렇게 15세기, 16세기가 구분된다.
(신진사대부 구분)
----급진파 - 건국 - 중앙집권 추구-----------------------------훈구세력-----------------------------------------------15세기 소멸
-위화도회군
*최영의 요동정벌에,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함
-과전법(신진사대부의 경제 기반을 만들어준, 경제개혁)
----온건파 - 낙향 - 향촌자치 추구---------------------------------------------------------------------------------------16세기 사림파 등장
*온건파들의 향촌자치를 통해 힘을 키움 ->온건파들이 지방의 여론 장악: 유향소(향촌에 있는 기구), 서원(인재 양성하는 교육기관), 향약(향촌의 약속만 들어서 농민통제)
[조선 전기 정치 순서]
1, 정도전(태조 이성계) 와 함께 조선 토대 구축 => 재상의 힘이 셈
*이성계가 나라를 세웠지만, 실질적인 일을 한 사람은 다 정도전임
-조선경국전
-경제문감
-불씨잡변(부처 씨의 잡소리)
2. 왕자의 난(이성계 뒤를 누가 이을것이냐) 이후 최종승리자 태종 이방언
*태종은 왕권 강화가 목표
*조선건국한 사람들이 자신에게 도움이 되지않는다면 숙청시켜버림(고려시대 광종처럼)
-6조직계제: 왕이 직접 6조(고려시대 6부처럼) 명령내리고, 6부도 직접 왕에게 보고함. => 왕권강화
왕과 6부 사이에 의정부가 있음. ->의정부의 힘은 약함
-사병 혁파(=없애버림), 호패법(주민등록증), 양전사업
*사격 혁파): 광종의 노비안검법과 유사
*호패법: 중앙에서 지방민들 통제
*양전사업: 토지조사사업
3. 세종 -안정화된 모습
-의정부서사: (의정부 3정승과 함께 사인을 하겠다, 정국을 꾸려나가겠다) 국왕-의정부-6조 체재. ->의정부 세력 세짐
-집현전: 경연-왕과 신하들이 이야기하는 것.
-쓰시마 정벌(왜구 혼내줌), 4군6진 개척(여진 방어),
*중간에 문종,단종
*(단종 죽이면서 )세조가 왕위 올라감
4. 세조(수양대군, 술좋아했던 왕)
-6조직계제 시행(왕권강화)
-집현전 없앰, 경연 없앰
-경국대전 시작 (법의 지엄함을 보여줘야해)
*태종과 닮은 세조임
*세조가 이렇게 하게 된 배경: 계유정난
*세조때 자리를 잡은 세력: 훈구 (옛 구)
5. 성종
-경국대전 완성
-공부시설 복원 -> 홍문관(경연, 서연 담당 *서연: 왕세자와 신하가 이야기하는 것)
6. 힘을키운 온건파들이 훈구들(급진파)의 비리를 때리기 시작: 3사(사간원, 사헌부, 홍문관)
-> 훈구세력이 온건파 때림 '사화'(사림이 화를 입었다, 온건파=사림)
4대사화 (무갑기을)
1. 무오사화(연산군당시)
-발생 원인: 김종직의 조 의제문 때문(중국황제 '의제'를 기린다는 것)
*중국 황제 의제가 항우에 의해 죽은것을 애도 -> 세조(수양대군)가 단종을 죽이면서 왕위에 오른 모습을 비판.
->김종직의 제자 김일손이 조의제문을 사초(역사서)에 담으려고 함
->훈구들이 이 사실을 알고, 역모로 몰아세워서 죽여버림
2.갑자사화(연산군당시)
-발생원인: 연산군 어머니인 폐비윤씨의 죽음
->중종반정 (연산군을 끌어내린 사건)
3.기묘사화(중종 당시)
-발생원인: 조광조의 개혁
*조광조: 조선 3대 개혁가 중 한명, 위훈삭제(거짓 위, 훈장 훈) 주장, 현량과 주장, 소격서 폐지 주장
*조선 3대 개혁가:김옥(조선후기, 대동법), 흥선대원군(조선말기), 그리고 조광조
*위훈삭제: 실제 중종반정에 참여하지 않았는데, 이름이 올라간 사람들이 많았음(훈구 세력들) ->조광조(사대쪽임) 가 빡쳐서 위훈삭제 주장
*현령과: 현명하고 선량한 지방의 선비들을 추천하자.
*소격서: 하늘에 제사 지내는 것. 조광조는 유학입장이라서 폐지 주장..
나뭇잎에 '주초위왕' 이 새겨짐 -> 조씨가 왕이 된다. 조->조광조
->그래서 중종이 조광조 버림
4. 을사사화(명종 당시)
-발생원인: 윤임vs윤원형 이정도만 알아두기.
15세기 끝자락에서 훈구 세력, 급진파 소멸
---------------------------------------------------------------------------------------------------------------------------------------------------------------
16세기 사림파 등장
*사림파:붕당정치(벗끼리 당을 만든것) ->사림 인원수가 많아서 이렇게 한것임.
정몽주-길재-김숙자
---------------김종직
---------------정여창, 김공필, 김일손
---------------이언적, 서경덕, 조광조, 김인국
---------------조식, 이황, 이이, 성혼
붕당: 동인당, 서인당으로 나뉨(나뉜 이유: 훈구 척신잔재, 이조전랑)
-동인당: 조식, 서경덕, 이황 이 중심이되어 만든 당, 북인,과 서인로 또 나뉨,
->북인: 서경덕+조식
->남인: 이황
-서인당: 이이, 성혼이 중심이되어 만든 당, 노론과 소론으로 나뉨
->노론: 이이
->소론: 성훈
*훈구 척신 잔재
동인당: 젊은 사람들이 모임, '확실히 끊어야한다'->개혁파
서인당: 노인들 모임. '이정도면 됐어~'
*이조전랑: 이호예병형공 6조의 인사권(전랑)
*사람이 너무 많은데 자리는 적어. 그래서 자기가 친한 벗에게 자리를 주고싶은 것. 그 인사권을 쥐고있는게 이조전랑임.
**동인당 이끈 인물: 김효원(집이 서울에서 동쪽에 있어서 동인당)
**서인당 이끈 인물: 심의겸(집이 서울에서 서쪽에 있어서 서인당)
'공부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태성 한국사 고급] 18강 - 조선 전기 외교 (0) | 2020.02.14 |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7강 - 조선 전기 조직 (0) | 2020.02.14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5강 - 고려 문화2 (0) | 2020.02.13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4강 - 고려 문화1 (0) | 2020.02.13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3강 - 고려 경제, 사회 (0) | 2020.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