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2. 14. 09:17ㆍ공부/한국사
[최태성 한국사 고급] 17강 - 조선 전기 조직
*고려 조직: 중앙 2성6부, 지방 5도 양계 체제
[행정조직]
중앙: 의정부 6조 체제
*의정부 정승: 영의정>좌의정>우의정 (조선시대는 좌상우하, 좌의정이 더 높음)
-의정부: 가장높은 조직. 아래에 6조 있음(이호예병형공) *고려시대-이병호형예공
-의금부: 역모 다스리는 조직. 왕권 강화
-승정원: 비서실 *승: 고려시대 승선 처럼 승 들어가면 비서 개념.ex) 도승지
-삼사: 언론기능 담당. 사간원, 사헌부, 홍문관
*고려의 삼사: 단순 회계만 담당
*사간원: 전하에게 고하는것 (지금의 언론사 기자들)
*사헌부: 관리 감찰 (지금의 검찰)
*홍문관: 경연, 서연 담당(성종 때)
의정부, 3사: 왕권 견제
6조, 의금부, 승정원: 왕권 강화
-한성부: 한양 업무 담당
-춘추관: 역사 실록 담당
-성균관: 교육기관
*고대->고려->조선시대로 가면 갈수록, 왕권을 견제하려는 부서가 명확히 있음.
지방행정조직: 8도 체재 - 일원화 되어있음, 전국에 지방관 보내서 중앙집권체제 완성(지방관 모두 파견)
-중앙: 8도, 부목군현에 지방관 파견
-8도
->관찰사: 8도에 파견된 지방관, '감영'이라는 상설기구가 있음, 수령(사또)들 관리감독
*고려시대: 안찰사, 상설기구 없음
*향리: 수령 보좌해주는 사람들, 외역전 지급x(향리에게 제공해주는 토지 제공안함)
*고려의 향리: 그 지역의 실질 지배세력인 향리, 조선의 향리는 보좌역할만 해줌.
*속군/속현/향/부곡/소: 조선시대에 완전히 소멸됨.
-부/목/군/현
[관리 선발 방식] ->읽어보면 된다.
1.과거제도: 문과, 무과
*고려시대 과거: 음서보다 뒤쳐진 그리고 골품제였음.. 조선시대 과거는 고위관직으로 올라갈 수 있음
-문과: 양인이상이면 지원가능, 서얼/재가한 여인의 자식들은 문과 응시 볼수 없음.
*서얼: 첩의 자식, 재가: 다시 결혼한 여자
-무과 있음, 승과(승려) 없고
*고려시대는 무과가 거의 시행되지 않음.
-잡과 있음
2. 천거(=추천제): 조광조 현량과
3. 문음(2품이상 자제들만 적용), 고위관료에는 올라갈 수 없음
*고려시대 5품이상: 음서
4. 취재:하급관리 뽑을 때 재능/기술을 보고 발탁
*중앙관리직: 경관직, 지방관리직: 외관직
[군사조직]: 5위 영진군
*5위: 중앙군, 영진군: 지방군
*조선시대의 군사는 양인개병(양인들은 모두 군대에 가야함, 의무병시스템), 농병일치(농사인=병사인)
중앙에 5위
국방상 중요한 곳(국방 요충지)에 영->, 진을 설치
잡색군-향리부터 노비까지 포함되는, 예비군적 성격
진: 자체적으로 방어함 -진관체제(지역방어 체제)
조선전기 5위영진군 -> 조선후기 5군영+속오군 으로 바뀜
'공부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태성 한국사 고급] 19강 - 조선 전기 경제, 사회(후기가 더중요) (0) | 2020.02.14 |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8강 - 조선 전기 외교 (0) | 2020.02.14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6강 - 조선 전기 정치(15세기~16세기) (0) | 2020.02.14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5강 - 고려 문화2 (0) | 2020.02.13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4강 - 고려 문화1 (0) | 2020.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