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2. 16. 09:36ㆍ공부/한국사
[최태성 한국사 고급] 36강 - 일제강점 (1920~저항)
민족주의 <-> 사회주의
(자본주의)
/*국내*/
[실력양성운동]
-민족주의 진영에서 전개함
*구한말에는 애국계몽운동에서부터 연결됨-교육/언론/식산흥업 강조
1.물산장려운동(국산품 애용운동) -배경: 회사령 철폐되고 관세폐지 -> 일본 물건과 경쟁하게 되어서 국산품 판매 어려워져서 -평양에서 시작됨(구한말 국채보상운동은 대구에서 시작함!!!!!!!) -성공못함. 사회주의 세력들이 비판함
2.민립대학설립운동 -전개된 배경: 2차 조선교육령(일본=조선 학제동일시하게 됨) -주도인물: 이상재 -성공못함. 일본이 경성제국대학 세우면서, 방해함
3.문맹퇴지운동(1920년대에도 있었고, 30년대에도 있었음) -주도했던 언론사: 문자보급운동(조선일보)
*1930년대에는 브나로드운동(중앙일보 주도) 있었음 |
[쟁의투쟁]
-사회주의 세력이 전개함
1.소작쟁의
-소작농들이 주도
-대표적인 쟁의: 암태도 소작쟁의(1923년), 목포경찰서 앞에서 한달간 시위하여 성공함. 지주가 당시 악독했었거든.
2.노동쟁의
-임금인상하라!
-대표적인 쟁의: 원산부두 노동자 총파업(1929년), 국제적 연대가 있었음(세계각지 노동자들이 모임)
*원산: 개항장 3곳중 한곳, 원산학사(최초 근대적학교)
민족주의 진영이 나뉘게 됨
1.자치론자 등장
-주장; 식민지 인정하고, 그 틀안에서 우리 자치권을 얻자
-대표인물: 이광수 개새끼-이때부터 변절의 길을 걸음. 이광수, 최남선은 천재였었대..
2.비타협적 민족주의자
-자치론자들을 격렬하게 비판.
+
치안유지법(1925년, 사회주의자 공격했던 법)
->사회주의자들이 합법적인 공간이 필요했음
=
비타협적 민족주의자들(민족주의)은 자치론자들을 더 공격하려고 했고, 사회주의자들은 합법적인 공간이 필요했음.
=>좌우 진영 합작하게 됨
**생각이 다르긴 하지만, 일제 식민지가 더 최악이었기 때문에 하나로 모일 수 밖에 없었음
<좌우합작 조직>
1.조선민흥회
2.정우회 선언(사회주의 진영에서, 민족주의자와 손 잡겠다 라고 선언한 것)
이 노력에 의해 만들어진 단체: 신간회 (1927년에 조직됨)
-민족 유일당 운동의 결과물
-공개단체, 전국지회 가지고 있었음 ->일제강점기 가장 큰 조직
-자치론자들을, 기회주의자라고 비판함
**신민회와 헷갈리지 말것. 신민회는 비밀단체
-자매단체: 근우회(여성 단체)
-이후 광주학생 항일운동 지원 -> 민중대회 -> 일제에 의해 해소됨(1931)
*해체: 완전히 없어짐. 해소-발전적 해체, 다른조직으로 재탄생
(당시 국외에서도 활동이 활발했음)
한국독립 유일당 북경 촉성회
-안창호가 중심이 됨
-좌우가 손 잡아서, 우리는 독립해야한다.
[민족문화 수호 운동]
1.국어 -조선어 연구회: 국어 확산시킨 단체, 가갸날(한글날) 제정함, 잡지<한글> 만듬 -카프 문학(KAPF) 활발: 사회주의 문학(사실주의. 있는 그대로.)
2.역사 (민족주의 사학) -대표인물: 신채호 ->저서: '조선사 연구초'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언급, '낭가사상' 강조 '조선상고사' -역사란 '아=나'와 '비아'의 투쟁 -대표인물: 박은식 ->저서: '한국 독립 운동지혈사' (피로쓴 역사, 혼이 강조된 모습)
3.영화 -나운규 '아리랑' |
[대중운동]
1.학생운동 -6.10 만세운동 -1926년에 전개 -배경: 순종 인산일 활용 -사회주의 진영이 계획했던 운동 (+천도교(민족주의진영)에서도 도움을 줬음) **그러면서 신간회가 등장하게 된 것임. 6.10만세 운동으로 인해 신간회가 탄생함.
-광주학생항일운동 -1929년 11월 3일(과거, 학생의 날)에 전개 -배경: 일본학생, 조선학생의 차별 -신간회가 광주학생항일운동에 진상조사단 파견. 민중대회를 열려고 했으나 해소됐음
2.청년운동 -주도조직: 조선청년총동맹조직
3.어린이운동 -어린이가 주도한 것은 아님. '천도교'에서 주도함 -방정환, 잡지<어린이> 만듬 ****<소년> 이라는 잡지는, 구한말 최남선의 소설 해에게서 소년에게 실린 잡지임. 헷갈리지 말것
4.여성운동 -근우회 -신간회 자매단체->좌우합작의 모습
5.형평운동(1920) -주도 계층: 백정 출신 '우리들 차별하지 말라' **1894년 갑오개혁이후로 신분제는 이미 다 끝났으나, 사람들의 의식에는 아직까지도 남아있었음 -출발지역: 진주 *진주: 조선후기 임술농민봉기 |
[의열투쟁]
1.의열단
-1919년에 만들어짐. 1920년대에 활동 많이함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 ->핵심: 폭력에 의해 혁명을 이뤄내야한다.
***한인애국단은 1930년대 만들어진 의열단에서 나온 조직
-대표인물: 단장 김원봉, 김익상(조선총독부에 폭탄), 김상옥(종로경찰서에 폭탄), 나석주(식산은행, 동양척식주식회사에 폭탄)
***식산은행: 지금 롯데백화점, 동양척식주식회사(구한말에 만들어지고,1910년 토지조사사업, 지금위치 명동 우리은행 위치)
***나석주의 폭탄은 두개 다 터지지 않았음. ㅠㅠ
-의열단들이 황포군관학교에 입관하기도 함(1925)
/*국외*/ 순서를 잘 봐두기
1.봉오동전투
-주도:홍범도 장군
-주력부대: 대한독립군(북간도, 북로군정서) + 다른 연합군 등등
2.일본의 훈춘 사건 조작
-중국사람을 돈으로 매수해서, 일본 영사관을 공격하게 함. -> 일본이 남의 땅에 대규모 군대를 끌고 가는 계기를 만들면서 독립군과 대규모 전투 벌이게 됨
3.청산리 전투
-주도: 김좌진 + 홍범도
-주력부대: 북로군정서 +연합부대(당연히 대한독립군도 들어감)
(백운평, 어랑촌 전투 등등)
4.간도참변
-청산리 전투 전후로 나온 것임. 이후는 아님
5.대한독립군단(서일 중심)
-김좌진, 홍범도 다 들어옴
6.자유시 참변 (러시아, 1921년)
-무장해제를 요구함. 러시아 군대 밑에서 운동해! 거부하면서 총격전이 일어나서 많이 죽음
7.3부 결성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 행정, 군사를 담당, 일종의 정부 성격을 가지고 있음
-참의부: 임시정부와 연결됨
8.미쓰야협정(1925)
-3부 결성을 견제하기 위해
-중국인들이 독립군 잡으면 포상금 줌.. 띱때....
9.3부 통합운동 전개
-북만주 조직: 혁신의회 만들어짐(1930년대에 한국독립당/한국독립군으로 이어짐)
-남만주 조직: 국민부 만들어짐(1930년대에 조선혁명당/조선혁명군으로 이어짐)
'공부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태성 한국사 고급] 39강 -현대 (민주주의) (0) | 2020.02.17 |
---|---|
[최태성 한국사 고급] 37강 - 일제강점 (1930~저항) (0) | 2020.02.16 |
[최태성 한국사 고급] 35강 - 일제강점기 (1910~저항) 1910년대 국내/국외 저항 (0) | 2020.02.16 |
[최태성 한국사 고급] 34강 - 일제강점기 (식민통치) (0) | 2020.02.16 |
[최태성 한국사 고급] 33강 - 근현대사 개항기 문화 (0) | 2020.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