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43)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9강 - 조선 전기 경제, 사회(후기가 더중요)
[최태성 한국사 고급] 19강 - 조선 전기 경제, 사회(후기가 더중요) - 15세기 16세기 토지제(수조권) (국가-공무원 관계) 과전법 -경기도 전/현직 관리에게 제공 수신전, 휼양전 (원래는 세습이 안됨) -수신전(믿음을 줄 수 있는 토지), 남편이 죽으면 부인이 다른남자와 결혼하지 않도록 과부에게 지급하는 토지 휼양전: 아버지 돌아가시면 자식들이 아비가 받던 과전일부를 받음 직전법(토지부족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세조때 시행) -현직에게만 제공, 수신전, 휼양전 폐지 ->관리들이 받을게 없어지니까 챙길것을 챙김 정부: 직전법+ 관수관급제 시행 *관이 거두어서 관이 나눠줌 직전법 제도 완전히 폐지 -녹봉제도 실시 -수조권 제도 소멸을 의미 조세제 (국가-백성 관계) *백성->소유권자로부터 거두는 세금..
2020.02.14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8강 - 조선 전기 외교
[최태성 한국사 고급] 18강 - 조선 전기 외교 1392년 조선 건국 외교 방식: 사대 교린 방식- 큰 나라(명나라)를 섬기고, 이웃(여진,일본,유구)과 교류한다 [명과의 외교] 15세기 -고려시대 최영 + 정도전 공통점: 요동 정벌 -태종: 사대(공무역 형태, 조공 10개를 주면 명에서 15개를 줌->무역입장에서는 나쁘지않아) [일본과의 외교] (15세기) -강경책: 세종때 쓰시마 섬 정벌(이종무를 보내서 정벌함) -회유책: 3포 개항(부산포, 제포-창원, 염포-울산) (16세기) -3포왜란: 중종때 발생. 3포가지고 부족하다. 더달라! ->비변사 설치(임시기구) -을묘왜변:거의 전쟁급.., 명종때 발생. 이때 비변사 상설기구화 됨 (16세기 말 1592년) -임진왜란(1592년~ 7년간의 전쟁) *..
2020.02.14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7강 - 조선 전기 조직
[최태성 한국사 고급] 17강 - 조선 전기 조직 *고려 조직: 중앙 2성6부, 지방 5도 양계 체제 [행정조직] 중앙: 의정부 6조 체제 *의정부 정승: 영의정>좌의정>우의정 (조선시대는 좌상우하, 좌의정이 더 높음) -의정부: 가장높은 조직. 아래에 6조 있음(이호예병형공) *고려시대-이병호형예공 -의금부: 역모 다스리는 조직. 왕권 강화 -승정원: 비서실 *승: 고려시대 승선 처럼 승 들어가면 비서 개념.ex) 도승지 -삼사: 언론기능 담당. 사간원, 사헌부, 홍문관 *고려의 삼사: 단순 회계만 담당 *사간원: 전하에게 고하는것 (지금의 언론사 기자들) *사헌부: 관리 감찰 (지금의 검찰) *홍문관: 경연, 서연 담당(성종 때) 의정부, 3사: 왕권 견제 6조, 의금부, 승정원: 왕권 강화 -한성부..
2020.02.14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6강 - 조선 전기 정치(15세기~16세기)
[최태성 한국사 고급] 16강 - 조선 전기 정치(15세기~16세기) 1592년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조선전기, 조선후기 구분 1392년 ~200년후에 선조 때 임진왜란 발발 이 중 또 100년을 전후로 조선전기, 조선후기로 구분 15세기: 조선 건국 세력 16세기: 조선 건국에 참여하지 않은 세력들 *둘다 신진사대부들임 [조선전기] 신진사대부(권문세족과 부딪친 세력) 급진파(조선 건국에 참여한 세력) 대표인물: 정도전 온건파(조선건국에 참여하지 않은 세력) 대표인물: 정몽주 ->대부분의 성리학 유학자들은 정통과 명분을 따지는데, 어떻게 신하가 왕을 뒤집는가. 명분에 맞지 않는다 ->조선건국에 명분이 없음 *그래서 이방언(이성계 아들)이 정몽주를 찾아감 -> '하여가'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 ..
2020.02.14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5강 - 고려 문화2
[최태성 한국사 고급] 15강 - 고려 문화2 [천문학] -왕권강화, 농업 중시 달력: 선명력(당나라 달력) ->수시력(원나라꺼, 시간/떄) 첨성대-개성 첨성대. *삼국시대 선덕여왕 첨성대와 다름 [의학] 향약구급방(우리나라에서 구할 수 있는 약초로 만든 처방전) - 현존하는 최고 오래된 의학서 ->나중에 조선 세종떄 향약집서도 나옴 [인쇄] - 고려시대 인쇄는 자랑거리임 목판: 초조대장경(거란 침입을 물리치기 위해 만듬)-> 승려 의천의 교장 ->재조대장경(=팔만대장경, 몽골 쳐들어왔을 떄 부처님의 힘을 빌려 이겨낼라고 만든 것) *몽골이 쳐들어왔을 떄 초조대장경이 불탔음 ㅜㅜ 그래서 팔만대장경 제작(다시 재, 여서 재조 대장경) 목판인쇄술 장/단점: 대량인쇄 가능 but 다양한 책은 못찍어냄 - 다양..
2020.02.13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4강 - 고려 문화1
[최태성 한국사 고급] 14강 - 고려 문화1 *시험에 정치, 문화 많이 나옴 사진 주어지고 어느시대인지 파악하는 것. [유학] - 조선시대와 비교할 것. 주로 훈고학 중심. 성리학은 나중에 *훈고학: 문장 해석이 맞는건지 *성리학: 철학적인 질문과 답. 정통과 명분을 따지는 학문 1. 호족 세력 성종 때 학제 정비(성종은 유교 중시, 최승로 시무28조 받아들인 왕) -중앙: 국자감(고려 중앙에 있는 대학교) ->유학부, 기술학부 ->유학부 과거시험(광종때 실시): 명경과(=경전 공부), 제술과(=논술) ->기술학부 과거시험: 잡과(산수, 회계..) -> +승과: 승려 시험 + 무과: 있었지만, 거의 시행되지 않음(워낙 전쟁이 많아서 전쟁에서 공을 세운사람들에게 직을 줬기떄문에 무과가 필요없었음) **조..
2020.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