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43)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3강 - 고려 경제, 사회
[최태성 한국사 고급] 13강 - 고려 경제, 사회 - 토지제, 수취제가 제일 중요 [토지제] 토지: 관리인에게 국가가 주었던 토지(국가를 위해서 일한 댓가임. 소유권이 아닌, 수조권만 지급) 수조권: 세금을 걷을 수 있는 권리 (통일신라 신문왕때 녹읍 폐지할때도 나왔음) 고려시대 토지제- 수조권과 관련 역분전 -> 시정전시과 -> 개정전시과 -> 경전전시과 **전지: 토지, 시지: 임야(땔감) *역분전: 태조왕건 때 개국공신들에게 준 것. (논공행상 차원에서 나눠준 것) *시정전시과: 광종때 전직, 현직 공무원들에게 지급. 인품(역분전의 흔적임, 가문대우를 해주는것임) *개정전시과: 전직, 현직에게만 지급, 인품에게 제공안함 *경정전시과: (경-다시 경, 재정비하는것임) 현직에게만 지급(->토지부족해서..
2020.02.13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2강 고려 외교
[최태성 한국사 고급] 12강 고려 외교 --------------------------------------------------------------------------고려 무신정변--------------------------------------------------- --------10c-11c--------------------------12c----------------------------------13c-----------------------------------------------------14c ----거란 요나라------------------여진족 금나라 ----------------------------몽골--------------------------------원 간섭기 ..
2020.02.13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1강 고려 중기정치~무신정변
[최태성 한국사 고급] 11강 고려 중기정치~무신정변 고려 초기: 호족들이 이끌던 시기 고려 중기: ~무신정변 이전 고려 후기: 무신정변 이후 호족의 변화 모습 [고려 초기]------------------------------->[고려 중기] 호족 -------------------------------------> 문벌귀족화 됨 선종(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 --------> 교종((의총) 고구려 계승의식 강함-------------------->신라 계승의식 (중국과 부딪침) (김유식 삼국사기) ------------------------------------------문벌+교종+신라= 특권 특권 *(음->조상의 은덕을 의미) 1) 정치적 특권: 음서제도(5품이상 집안자제들은 관직에 나갈수있음)..
2020.02.13 -
[최태성 한국사 고급] 10강 중세 고려 초기
[최태성 한국사 고급] 10강 중세 고려 초기 고려 정치 시기 구분할것 무신정변을 기점으로 고려 전기/후기 구분 918---------------------------------1170------------------------------------------------1392 건국------------------------------무신정변---------------------------------------------고려멸망 -------고려 전기(초기+중기)-----무신정변-------------------고려 후기---------------------------- ---------------------------------------------------몽골이 침입, 몽골에 의한 원 간섭기----..
2020.02.13 -
[최태성 한국사 고급] 9강 고대 문화2
[최태성 한국사 고급] 9강 고대 문화2 사진으로 삼국시대인지, 고구려백제 통일신라인지 반드시 구분해야함. 과학/건축/고분/일본과의교류 [과학 기술] 고구려: 천문도(왕권 강화를 의미, 농업사회), 천상열차분야지도(고구려 천문도 배경 별자리, 조선 태조 이성계 때 만들어짐) 백제: 칠지도(철모양 검, 백제-왜와의 관계를 보여줌) 신라: 천마총 금관(머리위에 쓰는 금관), 첨성대(하늘의 질서를 알수있는 별자리 관측 기구, 선덕여왕때 만듬) 선덕여왕->분황사, 황룡사 9층 목탑(*황룡사 는 진흥왕때, 황룡사9층석탑은 선덕여왕!) 통일신라: 상원사 종(성덕왕때 제작), 성덕대왕 신종(경덕왕 때 제작시작~ 혜공왕때 완료), 무구정광 대다라니경(불국사 3층석탑 수리중에 발견됨)->현존하는 최고의 목판 인쇄물 *경..
2020.02.12 -
[최태성 한국사 고급] 8강 고대 문화
[최태성 한국사 고급] 8강 고대 문화 *문화는 사진이 중요함 유교/ 역사/ 도교/ 불교/ 불상 / 불탑 [유교] -고구려 중앙 교육 기관: 태학(소수림왕) 지방 교육기관: 경당(장수왕이 평양으로 천도하면서 설립) *경당 특징: 유학 + 무술도 가르침(고구려는 무사적인 전통이 있으니까) -백제 박사가 많았음 - 빨리 도입했기 때문에 유학의 수준이 높음 사택지적비 - 불교적인 성격+도교적인 성격(인생무상), 부여에서 발견 *성이 사택, 이름이 지적. 비 내용을 읽어보면 유학이 상당히 발달했음을 알 수 있음. -신라 임신서기석- 임신년에 돌에 기록한 것. 땅에 묻었는데 1000년뒤에 발견. -통일신라 (사람 위주로 볼 것) (신라 중대) 설총(신문왕): 화왕계(왕이시여. 직언을 하소서) 올림, 강수: 외교에..
2020.02.12